[물한계곡] 황룡사~각호골~각호산~민주지산~석기봉~삼도봉~삼마골재~물한계곡~황룡사
○산행일시 : 2014. 6. 25. 09:25 ~ 16:20 (소요시간: 6시간 55분, 식사 및 휴식시간 105분 포함)
○산행구간 : 물한계곡입구(09:25)-(2.2km)-민주지산갈림길(10:05~10:15)-(0.7km)
-배거리봉(10:45)-(0.5km)-각호산(11:10~11:20)-(2.6km)-대피소(12:25~12:55)
-(0.4km)-민주지산(13:05~13:10)-(2.5km)-석기봉(14:10~14:15)-(1.2km)
-삼도봉(14:45~15:00)-(0.8km)-삼마골재(15:20)-(3.9km)-황룡사(16:15)-(0.3km)
-물한계곡입구(16:20)
○산행거리 : 구간거리 15.1km
○날씨 : 흐림
○구간특징
-산행 들머리 : 물한계곡입구(황룡사 300m 전방 민주지산 산행안내도 설치장소)
-물한계곡 입구 각호산 들머리는 황룡사를 300m 정도 앞둔 지점으로 민주지산 산행안내도와
간이화장실이 있고 차량 몇 대를 주차할 수 있는 주차공간이 있으며, 간이화장실 우측 방향
임도를 따라 진행함.
-임도길은 사방댐까지 이어지다가 이후 부터는 각호골 계곡 옆으로 산행로가 이어짐.
-이정표가 있는 삼거리 갈림길에서 좌측은 민주지산으로 가는 길이고 우측이 각호산 방향인데
여기서 부터 각호산까지는 된비알이 이어짐.
-된비알을 지나 능선에 올라선 후 조금 더 진행하면 배거리봉임.
-각호산 정상은 두 개의 암봉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정표 갈림길이 있는 곳이 동쪽 암봉으로
'NO. 1' 삼각점이 있으며, 정상석이 있는 서쪽 암봉은 삼거리 갈림길에서 우측으로 500m 정도
떨어져 있음.
-각호산 정상은 동쪽 암봉(삼각점봉)에서 내려와 바로 암벽을 타고 오르는 길과 우측으로 돌아서
뒤쪽으로 오르는 두가지 길이 있는데, 우측으로 돌아서 오르는 길이 좀 더 손쉽게 오를 수 있음.
-각호산에서 민주지산으로 가는 길에 휴양림 삼거리와 물한계곡 주차장 하산로 갈림길을 지남.
-무인대피소를 지나면 민주지산 정상임.
-민주지산에서 석기봉으로 가는 길에는 물한계곡 하산로 갈림길을 두 군데 지나며 석기봉 정상
직전에 암릉 오름길이 있음.
-석기봉에서 삼도봉으로 가는 길에 정자와 물한계곡 하산로 갈림길을 지남.
-삼도봉(三道峰)은 충북, 전북, 경북의 3도가 만나는 지점으로 백두대간 상에 위치해 있으며,
삼도화합 기념탑이 세워져 있음.
-삼도봉 정상에서 황룡사 방향(진행방향 10시방향)으로 내려가면 삼마골재임.
-이정표가 있는 삼마골재에서 물한계곡으로 내려가는 길은 좌측 하산로이며, 여기서 직진방향
으로는 백두대간이 이어짐.
-물한계곡을 따라 내려오다가 계곡을 가로지르는 출렁다리를 건너면 황룡사임.
-물한계곡 산행로 옆으로는 철조망이 쳐져있으며, 계곡에서 물놀이가 금지되고 있음.
-황룡사를 지나면 상가지대가 있고 조금만 더 내려가면 물한계곡 입구 각호산 들머리와 만나게
되어 원점회귀 산행이 가능함.
-중간탈출로 : 물한계곡 하산로 갈림길 다수
-구간내 식수 보충장소 : 없음
○고도표
○GPS트랙
○지형도
▼산행 출발지점인 물한계곡 입구입니다. 황룡사를 300m 정도 앞둔 지점으로 민주지산 산행
안내도와 간이화장실이 있고 차량 몇 대를 주차할 수 있는 주차공간도 있습니다.
직진방향으로는 황룡사와 민주지산 산행로로 이어지는 물한계곡이고, 간이화장실 우측 방향
으로는 각호골을 지나 각호산으로 오르는 산행로입니다.
▼물한계곡을 따라 민주지산으로 오르는 길입니다.
▼간이화장실 우측으로 각호골을 따라 각호산으로 오르는 길입니다.
▼넓은 임도길은 사방댐까지 이어지다가 이후 부터는 계곡옆으로 산행로가 이어집니다.
▼각호골을 따라 각호산으로 오르는 길입니다.
▼삼거리 갈림길이 나타나는데 좌측은 민주지산으로 가는 길이고 우측은 각호산을 경유하는 길입니다.
여기서 부터 각호산까지는 된비알이 이어집니다.
▼배거리봉입니다.
▼배거리봉에서의 조망입니다.
▼배거리봉에서 각호산으로 향하는 길입니다.
▼'NO. 1' 삼각점봉이 있는 삼거리 갈림길인데 정상석이 있는 각호산은 우측으로 500m 정도 떨어져
있는 암봉입니다.
▼이정표 삼거리 옆에 있는 삼각점봉입니다.
▼이정표 삼거리에서 각호산 정상으로 오르는 길입니다. 각호산 정상은 두 개의 암봉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서쪽 암봉이 각호산 정상으로, 동쪽 암봉(삼각점봉)에서 내려와 바로
암벽을 타고 오르는 길과 우측으로 돌아서 뒤쪽으로 오르는 두가지 길이 있는데, 우측으로
돌아서 오르는 길이 좀 더 손쉽게 오를 수 있습니다.
▼각호산 정상입니다.
▼각호산 정상에서의 조망입니다.
▼각호산 정상은 정상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오를 수 있는데, 밧줄이 매어져 있는 이 길은 올라올 때와
다른 방향으로 내려가는 길입니다.
▼각호산에서 민주지산으로 가는 길에 휴양림 삼거리를 지납니다.
▼각호골을 따라 올라오면서 만났던 삼거리에서 민주지산으로 오르는 길과 만나는 지점입니다.
▼민주지산 정상을 조금 앞두고 무인대피소를 지납니다.
▼민주지산 정상입니다. 특이한 산명인 '민주지산'(崏周之山)'은 한자 이름을 보면 민(崏)은 산맥을
뜻하고, 주(周)는 두루 혹은 둘레를 뜻하므로 첩첩산중에 둘러싸인 산이라고 말할수 있습니다.
▼민주지산에서의 조망입니다. 뾰족한 봉우리가 석기봉이고 그 뒤로 삼도봉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민주지산에서 석기봉으로 향하는 길입니다.
▼석기봉 정상을 앞두고 암릉길이 이어집니다.
▼석기봉 정상입니다.
▼석기봉에서의 조망입니다. 좌측 뒤로 보이는 봉우리가 삼도봉이고 우측으로 보이는 능선이
백두대간입니다.
▼삼도봉으로 향하는 길입니다.
▼삼도봉 정상옆에 자리하고 있는 헬기장입니다.
▼삼도봉(三道峰)입니다. 충북, 전북, 경북의 3도가 만나는 지점에 당당하게 솟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으로 충청, 전라, 경상도를 아우르는 분수령입니다. 백두대간을 타고 북에서 내려온 산줄기를
받아 한줄기는 대덕산으로 가르고 다른 한줄기는 덕유산으로 갈라 지리산과 맥을 이어주는 곳
입니다.
▼삼도봉 정상에서 황룡사 방향(진행방향 10시방향)으로 진행합니다.
▼삼도봉을 내려가면서 바라 본 백두대간입니다. 대간 종주 때의 기억이 새롭게 느껴집니다.
▼삼도봉에서 삼마골재로 내려가는 길입니다.
▼삼마골재입니다.
▼삼마골재에서 물한계곡으로 내려가는 길은 좌측 하산로입니다. 여기서 직진방향으로는 백두대간
길이 계속 이어집니다.
▼삼마골재에서 물한계곡을 따라 내려가는 길입니다.
▼능선길에서 만났던 물한계곡 갈림길이 이곳과 만나는 석기봉 갈림길입니다.
▼물한계곡에서 민주지산으로 오르는 갈림길입니다.
▼물한계곡에서 민주지산으로 오르는 지름길입니다.
▼계곡을 가로지르는 출렁다리를 건너면 황룡사입니다.
▼황룡사입니다.
▼황룡사를 지나면 상가지대가 있고 조금만 더 내려가면 물한계곡 입구 각호산 들머리와 만나게
됩니다.
'◆국내 명산┣━━━━ > 인기명산·근교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병4악 종주]허굴산-금성산-악견산-의룡산 (0) | 2014.11.24 |
---|---|
한천팔경의 비경에 달도 머물렀다 간다는 영동(황간) 월류봉(月留峰) (0) | 2014.08.02 |
[삼봉산~법화산] 팔령재~투구봉~삼봉산~오도봉~오도재~법화산~법화남릉(용유담능선)~용유담 (0) | 2013.12.26 |
골산의 웅장함과 장산의 부드러움을 함께 지닌 강진 덕룡산 (0) | 2013.04.16 |
죽도선생 정여립의 한이 서린 장수 천반산 (0) | 2012.05.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