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맥 & 지맥┣━━━/대동금남정맥·금남기맥(終)

[대동금남정맥 7구간] 석불사거리~상마사거리~함라우체국~함라산갈림길~함라산~봉화산~칠목재~수례재

법명(法明) 2013. 3. 5. 22:05

 

[대동금남정맥 7구간] 석불사거리~상마사거리~함라우체국~함라산갈림길~함라산~봉화산~칠목재~수례재

 

 

산행일시 : 2013. 3. 2. 08:30~14:35 (소요시간: 6시간 05분, 식사 및 휴식시간 50분 포함)

○산행구간 : 석불사거리(08:30)-(2.6km)-삼기제일교회(09:00)-(1.6km)-상마사거리(09:15)

                   -(1.9km)-현대정금주유소(09:35)-(0.8km)-호남선철도건널목(09:45)-(4.7km)

                   -함라우체국(10:40)-(1.2km)-함라산갈림길(11:00~11:05)-(0.7km)

                   -함라산(11:20~11:45)-(1.2km)-봉화산(12:05)-(1.5km)-입점재(12:35)

                   -(1.6km)-칠목재(13:00~13:05)-(0.5km)-178봉(13:15~13:20)-(1.0km)

                   -143봉(13:35~13:45)-(2.4km)-수례재(14:35)

○산행거리 : 구간거리 21.7km/접속(이탈)거리 0km/총거리 21.7km(함라산왕복  1.4km 포함)

○날씨 : 맑음

○구간특징

  -산행 들머리 : 석불사거리

  -석불사거리에서 석불사를 좌측에 두고 도로를 따라 10분쯤 직진하다가 사거리에서 좌측방향

    (도로 표지판의 구정방향)으로 진행함. 

  -동우화인켐(주) 정문을 지나 사거리 교차로에서 우측방향(동우화인켐 옆) 도로를 따라 

    전방(주) 익산공장 앞 사거리 까지 직진함.

  -전방(주) 익산공장 앞 사거리에서 좌회전하여 2시방향으로 보이는 삼기제일교회 앞을 지나

    계속 직진함.

  -참맛가든 앞 삼거리에서 우회전하여 성광 벽돌공장 굴뚝을 이정표 삼아 성광공장 정문앞을 지남.

  -고가도로 밑을 지나 직진하면 상마사거리이며, 여기서 좌회전하여 계속해서 마을길과 농로를

    따라 진행함.

  -형제농원 앞을 지나면 수로를 건너 좌측으로 길이 굽어지는데, 여기서 시멘트길을 따르지 말고 

    직진방향으로 수로 우측으로 나있는 농로를 따라 계속 직진함. <길 주의>

  -23번 국도 맞은편에 현대정금주유소가 보이면 도로 좌측방향으로 가다가 첫번째 교차로에서

    우측 횡단보도를 건너 맞은편 대한재생산업/대한RPF 방향으로 골목길을 따라 계속 직진함. 

  -호남선 철도가 지나는 철도건널목에서 우측 이리노회 회관방향으로 진행함.<길 주의>

  -이리노회(100m) 표지판이 있는 곳에서 직진방향임.

  -2차선 포장도로를 만나면 맞은편에 용산초교가 보이는데, 여기서 우측방향 도로를 따라

   용산리 마을표지석이 있는 사거리, 구자마을 입구, 모음수지 공장앞, 에바다 교회앞, 봉곡마을

   입구, 원광효도마을 노인복지센터, 711번 도로 교차로를 차례로 지나 함라면에 있는 일진슈퍼 앞

   사거리에서 좌측방향으로 진행함.

  -함라면사무소를 지나 함라우체국 앞에서 우체국 건물 좌측 골목길로 들어서서 마을길을 따라

    계속 직진하면 산길 입구에 '헬기장 1.12km' 이정표가 있음. <길 주의>

  -헬기장 이정표를 따라 산길로 접어들다가 갈림길을 만나면 직진방향 뚜렷한 길을 버리고 좌측

    능선길로 진행함.

  -산등성이에 올라서면 삼거리 갈림길인데, 정맥길은 좌측방향이고 우측방향은 함라산 정상방향임.

  -함라산 갈림길에서 우측 함라산 정상은 15분 거리로 정상을 다녀와 봉화산으로 진행함.

  -함라산 정상은 정상표지판과 벤치가 있으며, 금강 하류를 내려다 보는 조망이 좋음.

  -봉화산 정상은 사각정자와 산불감시초소가 있으며, 막힘없는 조망이 좋음.

  -봉화산을 내려오면 입남마을 갈림길 이정표가 있는 곳이 입점재이며 계속해서 잘 정비된 길을

    따라 칠목재로 내려감.

  -722번 2차선 도로가 지나는 칠목재에서 좌측 칠목재휴게소 식당 맞은편으로 진행하며,

    칠목재 우측으로도 진행이 가능함.

  -삼각점이 있는 178봉에서 좌측방향으로 진행하며, 칠목재를 지나면서 부터는 잡목가지와 쓰러진

    나무들이 방치되어 있어 진행하기가 쉽지 않음. 

  -143봉에서 시그널이 달려있는 좌측방향으로 내려가면 임도를 지나 계속 아래로 내려감.

  -수례재 바로 위쪽 능선에서 직진방향 능선길을 버리고, 시그널이 달려있는 능선 우측 3시방향으로

    3분쯤 내려가면 2차선 도로가 지나는 수례재임. <길 주의>

  -수례재에는 포도농장 원두막이 있으며, 고갯마루에 망해산 방향 이정표가 있음. 

  -중간탈출로 : 칠목재

  -구간내 식수 보충장소 : 함라면소재지

 

○고도표 

 

○GPS트랙 

대동금남7구간(석불사거리~수례재).gdb

 

○지형도

 

 

 

 

익산시 삼기면과 함라면을 가로질러 군산시계로 접어드는 구간으로 전체 거리 중 절반 이상을

도로를 따라가다가 함라산에 이르러서야 낮은 산줄기가 구간 종점인 수례재까지 이어진다. 

보물 45호 석불이 있는 석불사거리에서 산업단지 방향으로 도로를 따른다. 2011년에 완공된

대규모 산업단지인데 공장이 들어선 부지보다는 아직 비어있는 땅이 더 넓어보인다.

 

몇 차례 사거리 갈림길에서 방향을 틀어 진행하는데도 넓은 삼기면 벌판으로 이어지는 길은 

도심 구간을 통과하면서 가는 길에 비하면 그다지 까다롭지는 않아 보인다. 그리고 그 길을

자세히 살펴보면 물길을 가르며 끊이지 않고 이어지는 정맥을 확인할 수 있다.

이곳에서도 어김없이 산자분수령(山自分水領)의 원칙을 지켜가고 있음이다.

 

도로는 함라면소재지 뒤쪽의 함라산을 오르는 길목에서 끝나고 해발 240미터를 넘지 않는 나지

막한 산줄기가 함라면의 경계를 따라 이어진다. 능선 너머로는 금강과 인접해 있는 웅포면이다.   

함라산 정상은 정맥길에서 우측으로 벗어나 있지만 오늘 구간 중에서 상징적인 산이기에 함라산

을 그냥 지나칠 수가 없어 정상을 확인하고 봉화산으로 이어간다.

 

함라산 정상에서도 금강 하류의 조망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사방 막힘이 없는 봉화산에서의 조망

은 가히 장관이다. 서해바다와 인접한 금강 하류를 이처럼 가까이서 내려다 볼 수 있는 것은 처음

이다. 익산과 군산의 너른 들판과 금강이 한눈에 들어오는 봉화산 정상에는 산불감시초소 뿐

아니라 정자도 세워져 있다.

 

칠목재까지 잘 정비된 부드러운 산길이 이어지다가 칠목재를 지나면서 부터는 거칠어지기 시작

한다. 잡목가지와 쓰러진 나무들이 산행로를 막고있어 진행하기가 쉽지만은 않다. 그리고 유난히

많은 묘지들이 자리하고 있다. 주변 지역이 대부분 평지로 이뤄지다 보니 정맥이 지나는 낮은

산줄기는 누가 봐도 명당임에는 틀림이 없어보인다.

 

중간중간 보이는 송전탑을 나침반 삼아 쉬엄쉬엄 지나다보니 벌써 수례재가 눈앞이다.

수례재로 내려서기 직전에 능선이 남쪽으로 뚜렷한 길을 따라 이어지기에 이곳만 주의해서 피하면

포도농장 원두막이 있는 수례재로 곧장 내려서게 된다. 고갯마루에는 다음 구간 들머리를 알리는

망해산 이정표가 세워져 있고 그 위에는 솟대가 올려져 있다.

지나는 차량도 인적도 없는 한적한 고갯마루는 이른 봄 한낮의 따스한 햇살을 받아 포근함이 감돈다.

  

 

▼구간 출발지점인 석불사거리입니다. 땀 흘리는 석불로 알려진 석불사가 사거리에 인접해 있고

   석불사를 좌측에 두고 도로를 따라 진행하게 됩니다. 

 

▼석불사거리에서 2차선 포장도로를 따라 진행합니다. 좌우로는 산업단지 부지조성이 끝나고

   일부 공장들이 들어서 있는데, 오늘 구간은 절반이 이처럼 도로를 따라 진행하는 구간입니다. 

 

▼석불사거리에서 10여분 계속해서 도로를 따라 직진하다가 앞에 보이는 사거리에서 구정방향

   도로표지판을 따라 좌회전하게 됩니다. 

 

 

▼위 사거리에서 좌회전하면 전방 우측에 동우화인켐 공장이 자리하고 있는데, 동우화인켐 정문을

   지나 사거리에서 우회전합니다. 

 

 

▼동우화인켐을 우측에 두고 도로를 따라 전방(주) 익산공장 앞 사거리까지 계속 직진합니다. 

 

 

▼전방(주) 익산공장 앞 사거리 조금 못미쳐 좌측에 있는 삼불암입니다. 

 

 

▼전방(주) 익산공장 앞 사거리에서 좌회전합니다. 

 

▼위 사거리에서 좌회전하면 우측 2시방향에 삼기제일교회 건물이 보이는데, 교회를 이정표 삼아

   진행합니다. 

 

 

▼삼기제일교회 앞을 지납니다. 

 

▼삼기제일교회를 지나 전방 끝에 보이는 참맛가든 앞 삼거리에서 우회전입니다. 

 

▼참맛가든 앞에서 우회전합니다. 

 

 

▼좌측에 보이는 굴뚝이 성광 벽돌공장 굴뚝인데, 성광 공장 정문 앞을 지나게 됩니다. 

 

 

 

▼성광 공장을 지나면 고가도로 공사가 마무리 단계에 있는데, 고가도로 밑을 지나

   계속 직진합니다.

 

 

▼상마사거리에서 좌측방향으로 진행합니다. 

 

 

▼계속해서 마을길과 농로길을 지나게 됩니다. 

 

 

 

▼계속 직진하다가 수로를 건너는 작은 다리가 있는데, 여기서 좌측길을 따라가지 않고 계속해서

   수로 우측 농로길을 따라 진행해야 됩니다. <길 주의> 

 

 

▼23번 국도가 지나는 곳으로 맞은편에 현대정금주유소가 보이는데, 여기서 좌측 도로를 따라

   교차로까지 진행하게 됩니다.

 

 

▼현대정금주유소를 지나 첫번째 교차로에서 우측 횡단보도를 건너 대한신재생산업/대한RPF 방향

   골목길로 진행합니다. 

 

 

▼대한신재생산업 앞을 지나 계속 직진합니다. 

 

▼진행방향 맞은편으로 호남선 기차가 자주 지나는 것이 보입니다.  

 

▼호남선 철도가 지나는 철도건널목을 지나 우측 이리노회 회관 방향으로 진행합니다. <길 주의> 

 

 

▼이리노회 회관(100m) 표지판이 있는 곳에서 직진방향입니다. 

 

▼개사육장 앞을 지나 계속해서 직진합니다. 

 

 

▼2차선 포장도로를 만나면 맞은편에 용산초등학교가 보이는데, 우측방향 도로를 따라

   함라면소재지까지 직진하게 됩니다. 

 

▼용산초교 옆 도로를 따라 가는 길에 뽀빠이슈퍼 앞을 지나게 됩니다. 

 

▼용산리 마을표지석이 있는 사거리를 지나 계속 직진하면, 구자마을 입구, 모음수지 공장앞,

   에바다교회앞, 봉곡마을 입구를 차례로 지납니다. 

 

 

 

 

 

▼원광효도마을 노인복지센터 옆을 지나 계속 직진입니다.

 

▼교차로에서 직진하면 함라면소재지입니다. 

 

▼일진슈퍼 앞에서 좌측방향 도로를 따라 가면 함라초교, 함라면사무소, 함라우체국이 도로 양쪽으로

   자리하고 있습니다. 

 

▼함라초교입니다.

 

▼함라초교 맞은편에는 함라면사무소 건물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함라우체국입니다. 여기서 우체국  좌측 골목길로 진행해야 됩니다. <길 주의> 

 

▼함라우체국 좌측 골목길을 지나 마을 안쪽으로 들어가면 산길로 접어들게 됩니다. 

 

▼헬기장 이정표를 따라 산길로 접어들다가 갈림길을 만나면 직진방향 뚜렷한 길을 버리고 

   좌측방향으로 진행해야 됩니다. 직진방향은 계곡길이고 좌측방향은 능선길인데, 마루금을

   따르기 위해서는 좌측길이 맞습니다.

 

 

▼묘지 앞에서 내려다 본 조망입니다. 익산시 함라면, 황등면 일대 평야지대가 한눈에 들어옵니다. 

 

 

▼마루금으로 올라서면 좌우 갈림길이 있는데, 대동금남정맥길은 좌측방향이고, 우측은 함라산

   정상방향입니다. 

 

▼함라산갈림길에서 함라산 정상을 다녀오기 위해 함라산으로 향하는 길입니다. 

 

 

▼능선길에 면사무소 갈림길 이정표가 보이는데, 산길로 접어들면서 계곡방향으로 진행하면

   이곳과 만나게 됩니다.  

 

▼함라산 정상입니다. 

 

 

 

 

 

▼함라산 정상에서 내려다 본 웅포리 일대와 금강 하류 조망입니다. 

 

 

▼함라산 정상의 이정표입니다. 왔던 길을 되돌아 봉화산 방향으로 진행하게 됩니다. 

 

▼사각정자와 산불감시초소가 있는 봉화산입니다. 

 

 

▼봉화산에서 내려다 본 금강하류 조망입니다. 

 

 

 

 

▼봉화산을 내려가는 길의 마루금입니다. 

 

▼입남마을 갈림길 이정표가 있는 곳이 입점재입니다. 

 

 

▼722번 지방도가 지나는 칠목재로 내려서게 됩니다.  

 

 

 

▼칠목재 좌측방향에 있는 칠목재휴게소 식당 맞은편으로 정맥길이 이어집니다. 

   칠목재 우측 방향으로도 길이 나있는데 어느 길로 가더라도 178봉에서 만나게 됩니다. 

 

▼삼각점이 있는 178봉입니다. 

 

 

▼143봉인데 여기서 진행방향 좌측 시그널이 달려있는 방향으로 내려가면 임도로 내려서게 됩니다. 

 

 

▼143봉 아래 임도로 내려와 계속해서 임도를 건너 내려가게 됩니다. 

 

 

▼또다른 임도로 내려와 다시 올라서면 공동묘지를 지나게 됩니다. 

 

 

 

▼함라산과 봉화산 일대는 산행로가 잘 정비되어 있으나, 칠목재를 지나면서 부터는 이전과는 달리

   잡목가지와 쓰러진 나무들로 진행하기가 쉽지만은 않습니다.  

 

 

▼구간 종료지점인 수례재를 우측 아래에 두고 능선길에서 우측 3시방향으로 급하게 꺾어서 

   내려가게 됩니다. <길 주의> 

 

▼2차선 포장도로가 지나는 수례재입니다. 나포면과 서수면의 경계를 짓는 고갯마루로 포도 원두막이

   있고 다음 구간 들머리는 원두막 뒷쪽에 망해산 이정표가 세워져 있습니다.

 

 

▼수례재 고갯마루에 있는 이정표입니다. 다음 구간은 이곳에서 망해산 방향으로 진행하게 됩니다. 

 

 

대동금남7구간(석불사거리~수례재).gdb
0.04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