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간 & 정맥┣━━━/낙남정맥(終)

[낙남정맥 4구간] 덕천고개~태봉산~유수교~비리재~실봉산~진주분기점~와룡산~계리재

법명(法明) 2012. 5. 31. 12:56

 

[낙남정맥 4구간] 덕천고개~태봉산~유수교~비리재~실봉산~진주분기점~와룡산~계리재

 

 

산행일시 : 2012. 5. 27. 08:40~16:10

(소요시간: 7시간 30분, 식사 및 휴식시간 40분 포함)

○산행구간 : 덕천고개,SK덕천주유소(08:40)-(2.1km)-태봉산(09:15)-(1.2km)-2번국도(09:35)

                   -(1.9km)-유수교(10:00)-(0.7km)-유수경보시설(10:15~10:20)-(2.4km)

                   -비리재,1049번지방도(11:00)-(2.6km)-179봉(11:45)-(1.1km)-실봉산(12:05)

                   -(0.7km)-해돋이쉼터(12:15~12:50)-(3.3km)-진주분기점(13:35)-(1.9km)

                   -모산재(14:05)-(1.6km)-와룡산(14:45)-(1.4km)-109봉,산불감시초소(15:05)

                   -(0.5km)-죽봉동고개(15:10)-(1.6km)-고미동고개(15:40)-(1.6km)-계리재(16:10)

○산행거리 : 구간거리 24.6km/접속(이탈)거리 0km/총거리 24.6km  

○날씨 : 맑음

○구간특징

   -산행 들머리 : 덕천고개 SK덕천주유소앞

   -덕천주유소 옆 삼성약국 좌측 길을 따라 연평마을 방향으로 진행함.

   -마을 표지석 좌측 산길을 따라 오르면 4구간 최고봉인 태봉산 정상임.

   -태봉산(190.2m) 정상은 삼각점이 있으며, 고도 표시가 잘못된 표지판이 달려 있음.

   -태봉산을 내려오면 경전선 철로가 보이고 그 우측으로 2번 국도가 지나는데, 2번국도 고가

     차도 아래를 통과하자마자 우측 산길을 따라 진행함.

   -유수교로 가는 길에 과수단지 안을 지나게 되는데, 4구간 전체적으로 수많은 과수단지를

     가로질러 통과하게 되므로 과일 수확철에는 농장주와의 마찰로 어려움이 예상됨. 

   -과수단지를 지나면 아래쪽으로 하천과 다리가 보이는데, 이곳이 산자분수령(山自分水領)의

     원칙을 철저히 외면한 채 인위적으로 정맥길을 잘라내어 진양호 물줄기를 사천만으로 흘러

     보내는 가화천과 유수교 다리임.

   -유수교 다리를 건너자마자 도로표지판 밑에서 우측 산줄기를 따라 오르면 유수경보시설을 지남.

   -밤나무 단지와 매실나무 단지를 통과하면 '와룡산 9.41km' 이정표를 지남. 

   -이정표를 지나면 7~8분 후에 좌측으로 외딴집이 보이는 곳에서 임도 20m 전방 우측 산길로 

     진행함.

   -30번 송전철탑 밑에서 10시방향, 좌측으로 진행하면 임도를 만나게 되고 임도를 따라 계속

     진행하면 비리재임.  

   -비리재는 사천시 축동면과 진주시 내동면의 경계를 짓는 고갯마루로 1049번 지방도로가 통과함.

   -비리재를 지나면 다시 감나무 단지를 지나게 되고 이곳을 내려오면 포장도로와 만나는 곳에 

     다루 황토찜질방이 있음.

   -다루 황토찜질방에서 부터는 사천시 축동면과 진주시 내동면 마산리를 잇는 포장도로를 따라

     경사진 도로를 걷다가 도로 좌측 정맥길 이정표가 있는 곳에서 좌측 산줄기를 따르게 되는데,

     잠시 후에 이 도로와 다시 만나게 되므로 계속 도로를 따라 진행해도 별 차이가 없음. 

   -도로 커브길 교통표지판이 있는 지점에서 우측 산길로 진행함.

   -정촌대축지구 임도 신설 현장을 지나는데, 임도변에 '실봉산정상 0.6km' 이정표가 세워져 있음.

   -실봉산 정상은 삼각점과 정상표지판 있음.

   -실봉산 정상에서 3~4분 후, 조망이 트이는 곳 갈림길에서 우측으로 진행함.

   -해돋이쉼터는 실봉산 정상에서 10분거리로 운동시설과 쉬어가기 좋은 정자가 자리하고 있으며, 

     정맥길은 정자 우측 아래로 이어짐.

   -산강,함촌마을 갈림길 이정표를 지나 고갯마루 직전에서 우측 산길로 진행함.

   -조망이 트이고 시멘트 임도가 내려다 보이는 곳을 지나 임도 갈림길에서 좌측길로 진행하여

     내려가면 진주분기점 가는 길임.

   -주택가를 지나 도로 우측방향 돈마루 식당을 지나면 삼거리 갈림길 우측에 실봉산/무선산

     산행안내도가 있으며, 산행안내도 앞쪽(진행방향 좌측) 길로 진행함.

   -진주분기점 굴다리를 지나면 3번국도가 지나는 고가차도가 보이는데, 여기서 정맥길은 좌측방향

     으로 도로를 따라 가다가 횡단보도를 건너 진행함.

   -서라벌가든 식당 앞에서 좌측으로 진행하며, 마을 입구 커다란 나무 아래에서 다시 좌측길로 

     올라가다가 대전-통영간 고속도로 굴다리를 통과하여 우측 산길로 진행함.

   -2차선 포장도로와 만나는 모산재에서 도로 맞은편 직진방향으로 오름.

   -모산재에서 10분쯤 지나면 농사용 창고 건물이 보이고 그 앞쪽으로 정맥길이 이어짐.

   -농사용 창고건물에서 10분쯤 지나면 파란 물통이 보이는 곳에서 정맥길은 우측으로 이어지지만

     도로 신설공사로 절개지가 형성되어 진행할 수 없기 때문에 좌측길을 따라 우회하여 도로로

     내려 갔다가 마루금을 이어감.

   -고도 93.8m의 와룡산 정상은 삼각점이 있으며, 정맥길 좌측으로 5m 정도 떨어져 있기 때문에

     무심코 지나칠 수 있는 곳으로 대나무 숲길 직전에 있는 봉우리임.

   -와룡산에서 10분쯤 지나면 시멘트 임도삼거리를 만나는데, 여기서 임도 우측 2시방향으로

     진행함.

   -산불감시초소가 있는 밋밋한 봉우리가 109봉이며, 조망이 트여 있음.

   -109봉 산불감시초소에서 3분 거리에 있는 복숭아 농장 창고옆 우측으로 정맥길이 이어지며,

     아래쪽에 보이는 임도 커브길에서 좌측 감나무밭을 가로질러 진행함.

   -감나무단지를 지나면 죽봉동고개이고, 여기서 좌측 볼록렌즈 반사경을 지나면 등산로입구

     표지판이 있음.

   -농장 진입로를 따라가다가 미송사 갈림길에서 미송사 방향이 아닌 좌측방향으로 진행함. 

   -진주시 정촌면과 문산읍 경계표지판, 가족농장 표지목이 세워져 있는 2차선 고갯마루가

     고미동고개이며 가족농장 창고옆을 지나 감나무밭을 가로질러 진행함. 

   -가족농장을 지나면 정촌면에서 문산읍으로 이어지는 2차선 도로가 구간 종료지점인 계리재임.

   -계리재 우측 도로를 따라 1km 정도 내려가면 관봉초등학교가 있고 학교 건물 뒷쪽에 

     씻을 수 있는 수도가 있음. 

   -중간탈출로 : 유수교, 비리재(1049번 지방도), 진주분기점 33번국도, 죽봉동고개, 고미동고개

   -구간내 식수 보충장소 : 없음

 

고도표 

 

○GPS트랙 

낙남정맥4구간(덕천고개~계리재).gdb

 

○지형도 

 

 

 

낙남정맥 중 가장 지대가 낮은 곳, 진주시 축동면과 내동면 그리고 정촌면에 걸쳐있는 산줄기

로써 해발190.2m의 태봉산이 최고봉이 되는 미약한 산줄기가 이어지는 구간이다.

덕천고개 삼성약국 좌측의 연평마을 표지석을 따라 들어가면 진양호를 만들면서 수몰된 마을

주민들이 이주해 와서 살고있는 연평마을이 있고, 마을 표지석 좌측으로 본격적인 산길이

시작된다. 태봉산으로 오르는 길이다.

 

태봉산의 높이는 190.2m로 보잘 것 없이 낮은 산이지만, 산 아래 마을도 워낙 지대가 낮은 곳

이라 잠시 된비알이 이어진 뒤에야 오늘 구간의 최고봉인 태봉산 삼각점을 만날 수 있다.

태봉산을 내려오면 경전선 철로 옆으로 2번 국도가 지나가고 고가차도 밑을 통과하여 다시

산길로 접어든다. 계속해서 끊길듯 하면서도 낮은 야산지대가 이어진다.

 

128봉을 지나 과수단지를 지나면 아래쪽으로 하천을 가로질러 있는 다리 하나가 보이는데,

이곳이 진주 내동면과 사천의 축동면에 걸쳐있는 가화천에 설치된 유수교다.

산은 물을 가르고 물은 산을 건너지 않는다는 산자분수령(山自分水領)원칙이 깨어지는

순간이다. 인위적인 개발로 인하여 마루금을 잇지 못하는 곳, 물이 산을 넘어 버린 곳이다.

맥이 끊긴 하천 바닥에는 단단한 암반이 드러나 있어 이곳이 본래의 낙남정맥이었음을 각인

시켜 주는 듯 하여 마음이 아플뿐이다.

 

가화천은 1968년 남강땜을 막고 생긴 진양호 물길을 정맥에서 발원한 세월천으로 역류시켜

가화천을 통해 사천만으로 흐르게 한 인공 수로다. 진양호 물은 본래 남강을 지나 창녕 밑에

있는 남지에서 낙동강 본류와 만나 부산 앞바다로 빠지는데, 홍수 발생시 불어난 낙동강 하류

의 물로 인해 빠져 나가지 못하고 상습적인 피해를 일으키자 댐을 만들어 진양호가 생겼고,

담겨진 물을 방출하기 위해 유수교 남쪽 마루금의 낮은 안부를 파 인공수로를 만들어 가화천

을 통해 사천만으로 흐르게 한 것이다.

 

유수교를 건너 끊어진 길을 다시 잇기 위해 산길로 오르면 유수경보시설이 나타나고, 야산

지대가 이어지면서 비리재로 내려서게 된다.  비리재는 사천시 축동면과 진주시 내동면의

경계를 짓는 고갯마루로 1049번 지방도로가 통과하는 곳이다.

비리재를 지나면 또다시 감나무 단지를 지나게 되는데, 오늘 구간은 계속되는 과수원과 임도

갈림길 등으로 길 찾는데 세심한 주의가 필요한 구간이고, 특히 과일 수확철에는 농장주와의

마찰이 빈번할 것으로 보이는 힘든 구간이 될 듯 싶다.

 

감나무단지를 통과하자 황토찜질방이 보이는데, 이곳부터는 도로를 따라 완만한 경사길을

오르게 된다. 사천시 축동면과 진주시 내동면 마산리를 잇는 포장도로인데, 고갯마루 근처

에서 도로를 벗어나 산길로 접어들게 되고, 잠시 공사중인 임도를 만난 후에야 이제는 실봉산

오름길이 이어진다.

 

실봉산 정상은 삼각점과 정상표지판 있고 조망은 막혀있으나, 10분거리에 운동시설과 쉬어

가기 좋은 정자가 자리하고 있는 해돋이쉼터가 있어 모처럼 여유있는 휴식을 취하고 남은

길을 이어간다.

 

남해고속도로와 대전-통영간 고속도로가 교차하는 진주분기점은 국도까지 가세하여 복잡

하게 보이는 곳인데, 의외로 쉽게 통과할 수 있는 곳이다. 고속도로 굴다리를 통과하고 횡단

보도를 건너 마을 길을 우회하면 다시 야산으로 이어지는 정맥길을 찾게되고 모산재를 지나

와룡산으로 올라서게 된다.

 

93.8m에 불과한 와룡산은 나름대로 삼각점이 박혀있고 어엿한 이름까지 갖고 있는 산이지만

주변은 온통 대숲으로 덮혀있는 곳이다. 이곳을 지나면 또다시 여러 곳의 과수원을 가로지르

며 죽봉동고개와 고미동고개를 지나게 되는데, 길 찾기가 난해하여 독도에 주의가 필요한

구간이다. 가족농장 표지목이 있는 고미동고개를 지나자 금새 구간 종점인 계리재에 도착한다. 

 

물 찾기가 어려운 계리재에서는 우측 도로를 따라 1km 정도 내려가면 관봉초등학교가 있는데,

학교 건물 뒷쪽에 수도가 있어 산행에 지친 몸을 씻을 수 있어 다행으로 여기고, 쉼터에서 잠시

쉬었다가 발길을 돌린다.

 

▼구간 출발지점인 덕천고개입니다. 길 건너편이 지난 구간 내려왔던 곳입니다. 

 

▼덕천고개에 있는 SK덕천주유소인데 현재 영업을 중단한 상태입니다.

 

▼덕천주유소 옆에 있는 삼성약국 좌측 길을 따라 연평마을 방향으로 진행합니다.

 

 

▼도로 입구에는 식당과 주택들이 들어서 있습니다.

 

▼도로 공사로 인해 우측 우회길을 이용하여 진행하게 됩니다.

 

▼진양호가 들어서면서 수몰지역 주민들이 이주해 온 연평마을 표지석 옆으로 산길을 따라

  진행하게 됩니다.

 

 

▼태봉산으로 향하는 길입니다.

 

▼오늘 구간의 최고봉인 태봉산(190.2m) 정상과 삼각점입니다.  

 

 

▼태봉산을 지나 6~7분 정도 가면 디비리산이라는 표지판이 걸려있는데, 어떤 근거에 의해

  디비리산이라고 하는지 알 수 없는 표지판입니다. 

 

▼태봉산을 내려오면 경전선 철로가 보이고 그 우측으로는 2번 국도가 달리고 있습니다.

 

 

▼2번 국도 아래를 통과하면 곧바로 우측 산길로 진행해야 됩니다.

 

 

 

▼2번 국도를 지나 야산지대를 통과하여 유수교로 향하는 길입니다.

 

▼유수교로 가는 길에 과수단지를 통과합니다. 오늘 구간은 계리재까지 수많은 과수단지를 

  통과하게 되는데, 과일 수확기에는 농장주와의 마찰이 예상되는 까다로운 길이 될 것이

  분명해 보입니다. 

 

 

▼과수단지를 지나면 아래쪽에 곧게 뻗은 유수교 다리가 보입니다. 정맥 마루금이 인위적으로

  끊겨버린 현장입니다.

 

 

▼진양호 물을 사천만으로 흘러보내기 위해 인위적으로 정맥을 잘라버리고 가화천이라는 하천을

  만들어 놓은 현장입니다. 

 

▼가화천을 잇는 유수교 다리입니다. 다리를 건너 우측 산줄기를 따라 진행해야 됩니다. 

 

▼유수교 좌측으로는 가화천을 건너는 경전선 철로가 보입니다.

 

▼유수교 우측으로는 산자분수령(山自分水領)의 원칙을 무시한 채 인위적으로 맥을 잘라내

  버리고 본래의 낙남정맥이 하천 바닥으로 단단한 암반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유수교를 건너면 도로 표지판 아래에서 우측으로 다시 정맥길을 이어갑니다.

 

 

▼가화천 유수경보시설을 지납니다.

 

 

 

▼밤나무 단지와 매실나무 단지를 지나는 길입니다.

 

 

▼과수단지를 지나 비리재로 가는 길입니다.

 

▼산행 출발후 처음 만나는 이정표입니다.

 

▼이정표를 지나면 7~8분 후에 좌측으로 외딴집이 보이고 임도와 만나게 됩니다.

 

 

▼임도를 따라 가다가 곧바로 임도 우측 산길로 이어집니다.

 

▼송전철탑 밑에서 진행방향 10시 방향으로 좌측으로 진행하면 임도를 만나게 되고 임도를 따라

  계속 진행하면 비리재로 내려서게 됩니다. 

 

 

▼1049번 지방도로가 지나는 비리재입니다.  

 

 

▼비리재는 사천시 축동면과 진주시 내동면의 경계를 짓는 고갯마루입니다.

 

 

▼비리재를 지나면 다시 감나무가 심어져 있는 과수단지를 지나게 됩니다.

 

▼감나무 단지를 내려오면 포장도로를 만나게 되고 계속해서 도로를 따라 진행하게 됩니다. 

 

▼도로와 만나는 곳에 세워져 있는 이정표입니다.

 

▼도로 좌측으로는 황토찜질방이 있습니다.

 

 

▼다루 황토찜질방에서 부터는 사천시 축동면에서 진주시 내동면 마산리로 이어지는 경사진

   도로를 따라 걷다가 좌측 이정표가 있는 곳에서 좌측 산줄기를 따르게 되는데, 잠시 후 다시

   이 도로와 만나게 됩니다. 이정표 있는 곳에서 산길로 진행하던 도로로 진행하던 별 차이가

   없습니다. 

 

 

▼산길을 따라 가다가 다시 도로로 내려와 경사진 길을 걷게 됩니다.

 

▼커브길 교통표지판이 있는 곳에서 도로 우측 산길로 진행하게 됩니다.

 

 

▼정촌대축지구 임도 건설 현장을 지납니다. 2012년 9월 이후에는 이곳에도 시멘트 포장이 되어

  있을 것 같습니다. 

 

 

 

▼임도길을 벗어나는 곳에 낙남정맥길 표지판이 길 안내를 해주고 있습니다.

 

 

▼실봉산 정상입니다. 오늘 구간중 유일하게 정상 표지판이 서있는 곳입니다. 

 

 

 

▼실봉산 정상에서 3~4분 가면 조망이 트이는 곳에 삼거리 갈림길이 있는데, 여기서 우측

  방향으로 진행합니다. 

 

 

▼해돋이쉼터 표지판이 있는 곳이 지도에 운동시설이라고 표시된 곳으로 간단한 운동시설이

  있고, 조망 좋은 곳에 정자가 있어 쉬어가기 좋은 곳입니다. 

 

▼해돋이쉼터에서 점심식사와 잠간 누워 편안한 휴식을 취하고 떠납니다.

 

▼해돋이쉼터 우측 아래쪽으로 정맥길이 이어집니다.

 

▼마을 갈림길에 낙남정맥 표지판이 있어 길 찾기가 수월합니다.

 

▼산강.함촌마을 갈림길에서 임도를 따라 오르다가 고갯마루 직전에 우측 산길로 진행합니다.

 

 

▼시멘트 임도가 내려다 보이는 곳 좌측으로 정맥길이 이어집니다.

 

▼위 사진의 시멘트 임도길을 지나자마자 아래와 같은 갈림길에서 좌측길로 진행하여

  야산지대 숲길을 따라 내려가면 진주분기점입니다.

 

 

▼야산을 내려오면 주택가를 지나 진주분기점을 통과하게 됩니다.

 

▼돈마루 식당을 지나면 삼거리 갈림길 우측에 실봉산, 무선산 산행안내도가 있습니다.

  정맥길은 산행안내도 앞쪽(진행방향 좌측)으로 진행합니다. 

 

▼산행안내도가 있는 삼거리 갈림길에서 진행방향 좌측으로 가면 진주분기점을 통과하는

  굴다리가 있습니다.

 

▼고속도로 진주분기점을 통과하는 길입니다.

 

 

▼고속도로 굴다리를 지나면 3번국도가 지나는 고가차도가 보이는데, 여기서 정맥길은 좌측방향

  으로 도로를 따라 가다가 횡단보도를 건너 진행하게 됩니다. 

 

▼3번 국도 횡단보도 옆에 낙남정맥길 안내가 되어 있습니다.

 

▼3번국도 횡단보도를 건너 다시 굴다리를 통과하여 서라벌가든 식당앞으로 진행합니다.

 

 

▼굴다리를 지나면 본래 좌측길이 마루금이지만 사유지인 관계로 통행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계속 직진하여 서라벌가든 식당 앞에서 좌측으로 진행하게 됩니다. 

 

▼서라벌가든 식당 앞으로 가는 길을 따라 계속 가다가 식당 앞에서 좌측방향으로 진행합니다.

 

▼서라벌가든 식당을 지나 마을입구 나무 아래에서 좌측길로 진행하여 다시 대전-통영간

  고속도로 굴다리를 통과하게 됩니다.

 

▼대전-통영간 고속도로 굴다리를 통과하면 우측방향으로 산길로 진행하게 됩니다.

 

▼뒤돌아 본 대전-통영간 고속도로입니다.

 

▼임도를 따라 좌측길로 내려가면 2차선 포장도로가 지나는 모산재입니다.

 

▼모산재입니다.

 

 

▼모산재에서 10분쯤 지나면 농사용 창고건물이 있고 그 앞쪽으로 마루금이 이어집니다.

 

 

 

▼위 사진의 농사용 창고건물에서 10분쯤 지나면 파란 물통이 보이는 곳에서 정맥길은 우측

  으로 이어지지만 도로 신설공사로 절개지가 형성되어 내려갈 수 없기 때문에 좌측길을 따라 

  우회하게 됩니다. 

 

 

▼도로 절개지를 우회하면서 바라 본 잘라진 정맥길입니다.

 

▼신설 도로공사 현장으로 내려가 정맥길을 이어가게 됩니다.

 

▼갈림길 좌측으로 빛바랜 낙남정맥 표지기가 달려있습니다.

 

▼와룡산으로 가는 길에 개인농장 옆을 지나갑니다. 여기서 와룡산까지는 채 10분이 안되는

  거리입니다.

 

▼고도 93.8m의 와룡산 정상으로 삼각점과 빛바랜 표지판이 걸려있습니다. 

  와룡산은 정맥길 좌측으로 5m 정도 떨어져 있기 때문에 무심코 지나칠 수 있는 곳으로

  대나무 숲길 직전에 있는 봉우리입니다.

 

 

 

 

▼와룡산을 지나면 대나무 숲길이 이어집니다.

 

 

▼와룡산에서 10분쯤 지나면 시멘트 임도삼거리를 만나는데, 여기서 임도 우측방향으로

  진행합니다. 

 

 

▼산불감시초소가 있는 109봉으로 가는 길에 좌측으로 진주시내가 조망됩니다.

 

▼밋밋한 봉우리 상부가 109봉입니다.

 

▼산불감시초소가 있는 109봉입니다. 예전엔 이곳에 낙남정맥 종주를 환영한다는 초소관리인의

  현수막이 걸려있었다고 하는데, 지금은 초소 관리인이 바뀌어 환영문구는 찾아볼 수가 없습니다. 

 

 

▼산불감시초소 앞 감자밭 사이를 지나 정맥길을 이어갑니다.

 

▼109봉 산불감시초소에서 3분 거리에 있는 복숭아 농장 창고옆 우측으로 정맥길이 이어집니다. 

 

▼위 사진의 농장 창고 우측으로 올라서면 아래쪽으로 임도가 보이는데,

  임도 커브길(경운기 위치)에서 좌측 과수단지(감나무밭)를 가로질러 가게 됩니다. 

 

 

▼감나무밭을 가로질러 내려가면 죽봉동고개입니다.

 

▼죽봉동고개로 내려서는 곳에서 맞은편으로 정맥길이 이어지는데, 도로 좌측에 있는 반사경을

  지나면 등산로입구 표지판이 있습니다.

 

 

▼죽봉동고개 등산로입구 표지판을 따라 농장 사잇길로 진행합니다.

 

 

▼갈림길 우측은 미송사 방향, 정맥길은 좌측방향으로 계속 임도를 따라 진행합니다. 

 

 

 

▼가족농장 표지목이 세워져 있는 고미동고개입니다.

 

▼고미동고개는 진주시 정촌면과 문산읍의 경계를 이루고 있습니다.

 

 

▼고미동 고갯마루에는 가족농장 표지목이 세워져 있는데, 표지목 좌측으로 농장을 가로질러

  정맥길이 이어집니다. 

 

▼가족농장 창고 좌측으로 감나무밭을 가로질러 정맥길이 이어지는데, 수도꼭지에서 시원한

  지하수가 나와 잠시 더위를 식히고 갑니다.

 

 

▼가족농장을 지나면 구간 종료지점인 계리재입니다. 계리재는 정촌면에서 문산읍으로 이어지는

  도로로 우측으로 1km 정도 내려가면 관봉초등학교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계리재에 있는 낙남정맥 표지판입니다.

 

 

▼계리재에서 시작되는 다음 구간 들머리입니다.

 

낙남정맥4구간(덕천고개~계리재).gdb
0.05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