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남정맥 3구간] 백토재~옥정봉~마곡고개~원전고개~사립재~딱밭골고개~선덜재~덕천고개
○산행일시 : 2012. 5. 13. 08:55~16:00(소요시간:7시간10분, 식사 및 휴식시간 45분 포함)
○산행구간 : 백토재(08:55)-(2.5km)-안남골고개(09:30)-(1.5km)-237봉,감티봉(09:55)-(1.1km)
-244봉,옥정봉(10:10~10:15)-(2.5km)-마곡고개(10:45)-(1.8km)
-원전고개,2번국도(11:10)-(0.7km)-헬기장(11:20~11:30)-(1.6km)-245.5봉(11:50)
-(1.3km)-239봉(12:10)-(1.2km)-224봉(12:30)-(0.6km)-234.9봉,사립재(12:40)
-(2.4km)-딱밭골고개(13:20~13:50)-(3.0km)-선덜재,1001번지방도(14:50-(1.0km)
-나동천주교공원묘지(15:10)-(3.2km)-덕천고개,2번국도
○산행거리 : 구간거리 24.4km/접속(이탈)거리 0km/총거리 24.4km
○날씨 : 흐림
○구간특징
-산행 들머리 : 백토재
-3구간은 지형도상 정식 산이름을 가진 봉우리가 하나도 없고 미약한 산줄기가 이어지는
구간으로 오르내림이 크지 않지만 개인 사유지 농장을 지나는 구간이 있어 주의가 필요함.
-백토재를 올라서면 여러차례 임도와 만나게 되는데, 그때마다 임도 우측으로 나있는
산길을 따라 진행하게 됨.
-237봉은 삼각점이 있는 곳으로 감티봉이란 이름의 표지판이 걸려있음.
-244봉은 옥정봉이란 표지판이 걸려있음.
-마곡고개는 2차선 포장도로가 지나는 곳으로 원전고개 방향 들머리에 낙남정맥 이정표가
설치되어 있음.
-원전고개는 2번국도와 경전선 철로를 통과하는 지하통로 및 굴다리가 위치해 있으며,
이정표와 낙남정맥 안내도가 설치되어 있음.
-원전고개를 지나는 경전선 철로 굴다리를 통과한 후 우측 마을 안쪽길을 따라 진행함.
-원전고개에서 10분쯤 지나면 넓게 조성된 헬기장을 지남.
-사립재는 삼각점이 있는 234.9봉을 말하며, 조망은 막혀있음.
-사립재를 내려가면 넓은 임도를 만나게 되는데, 임도 좌측 산줄기를 따라 가면 다시 임도와
만나게 되며, 임도 갈림길에서 다시 좌측 길을 따라 산길로 가다가 임도를 만나 계속 진행함.
-지금은 사용하지 않은 임도 우측옆 교회수련원 건물을 지나 임도를 따라 계속가면 농가주택이
있고 그 앞쪽으로 나있는 농장 진입로를 따라 진행함.
-전주가 서있는 농장 갈림길에서 좌측길로 진행하여 콘테이너박스를 지나면 딱밭골고개로
가는 길임.
-딱밭골고개 도로로 내려가는 길은 절개지 주변으로 철조망이 쳐져 있기 때문에 이곳을 피해
감나무 밭을 좌측으로 가로질러 내려가거나, 감나무밭 통과를 제지할 경우는 철조망 아래로
내려가 진행방향 철조망 우측으로 80m쯤 내려가다가 철조망이 끝나는 지점으로 빠져나와
고갯마루로 되돌아 가야 됨.
-딱밭골고개 맞은편 언덕배기로 올라가 다시 감나무밭을 가로질러 가면 감나무밭이 끝나는
지점 좌측편으로 정맥길이 이어짐.
-편백나무 숲을 지나면 일신자연농원을 통과하게 되는데, 이 지역도 사유지인 관계로 주의가
필요하며, 농가주택 좌측 산줄기로 이어짐.(우측편 임도를 따라 진행해도 다시 만남)
-일신자연농원을 지나면 1001번 지방도가 지나는 선덜재이나 도로는 시멘트 포장된 임도수준에
불과함.
-선덜재에서 15분쯤 지나면 나동 천주교공원묘지를 지나게 되는데, 묘지 상단부를 지나는 길을
따라 공원묘지 끝까지 가면 직진방향으로 산길로 내려서는 곳에 시그널이 설치되어 있음.
-덕천고개는 진주에서 하동으로 가는 2번국도가 지나는 곳으로 지금은 휴업중인 SK덕천주유소가
있고, 주변에 식당, 모텔, 온천등이 들어서 있음.
-중간탈출로 : 마곡고개, 원전고개(2번국도), 딱밭골고개, 선덜재(100번지방도)
-구간내 식수 보충장소 : 없음
○고도표
○GPS트랙
○지형도
지리산을 떠난 낙남정맥이 하동땅을 지나 사천시로 접어들면서 급격히 꼬리를 내리고 200m급의
산봉들이 고작인 미약한 산줄기가 정맥길을 이어가는 구간이다. 수차례 고갯길을 만나고 곳곳에
과수원단지를 만나는 정맥 마루금, 그 모습은 변했으나 찾아가는 정맥길의 묘미에 큰 의미를
두고자 한다.
백토재의 아침은 바람 한점없고 하늘은 잔뜩 찌푸려있다. 그러나 다행인 것은 30도 가까이 오르던
기온은 한풀 꺾인듯 많이 덥지는 않지만 습도가 높은 탓에 금새 땀방울이 맺히기 시작한다.
고도차가 크지 않은 마루금은 평탄하게 이어지고 자주 임도와 만났다 헤어지기를 거듭하면서
오늘 구간의 최고봉인 247봉을 지나 안남골을 지난다.
지형도상으로는 정식 산 이름이 없는 낮은 무명봉들을 지나지만 그중 237봉과 244봉은 누군가
감티봉과 옥정봉이란 이름을 붙여 표지판을 달아놓고 있다. 그리고 또다시 야산지대를 지나
2차선 포장도로가 지나는 마곡고개로 내려선다. 원전고개 방향 들머리에는 낙남정맥 이정표도
세워져 있다. 낙남정맥길에 대한 사천시의 관심을 엿볼 수가 있다.
마곡고개를 뒤로하고 25분쯤 지나면 차량들이 고속질주하는 2번 국도와 그 옆으로 경전선 철로
가 지나는 원전고개에 다다르게 된다. 국도와 철로를 건너는 길은 길 아래 안전한 지하통로가
있고 그곳을 지나 또다시 산길로 접어들면 작은 오르내림이 지루하게 이어지는 마루금이 계속
된다. 조망도 막혀있고 이름도 없는 봉우리들을 지나가는 것이야말로 딱히 걷는다는 것 말고는
달리 재미가 없는 구간이다.
잠시 빗방울이 지나가기도 하던 날씨는 여전히 흐려있고 남동쪽을 향해 뻗어있던 산줄기가
다시 북동쪽을 향해 방향을 바꾸기 시작하는 곳에 삼각점이 박혀있는 사립재가 있다.
사립재를 지나자 넓은 임도가 한동안 정맥길을 대신하면서 점차 과수원단지 안으로 접어든다.
때론 밤나무단지와 감나무밭을 가로질러 길은 이어지는데, 과일 수확철에는 아무래도 눈치가
보이고 농장 주인들과의 마찰이 일어날 법도 한 구간이 계속되면서 딱밭골고개로 내려선다.
절개지 주변에 철조망이 쳐져 있고 좌측엔 감나무밭이 있어 내려서기가 쉽지 않은 딱밭골고개
주변으로는 온통 과수원이 들어서 있어 수확철이 아닌데도 이곳을 지나면서 계속 눈치가 살펴
진다. 사유지 출입을 막는 경고 문구도 썩 기분좋은 것은 아니지만 애써 못본체 지나치며
선덜재에 다다른다. 1001번 지방도로지만 시멘트 임도수준에 불과한 초라하고 작은 고갯마루다.
선덜재에서 15분쯤 지나자 잘 조성된 천주교 공원묘지가 한눈에 들어온다.
정맥길 종주를 하면서 이같이 잘 조성된 공원묘지를 지날 때 마다 느끼는 것은 종교단체중
천주교만이 전국 각지에 이와같은 묘지를 조성하여 관리하고 있음이 늘 부러울 뿐이다.
나동공원묘지 상단부로 나있는 길을 따라 한참동안 묘역를 지나 벗어나면 곧이어 산행 종료
지점인 덕천고개로 내려서게 된다.
진주에서 하동으로 연결되는 2번 국도가 지나는 덕천고개 주변으로는 온천이며, 모텔, 식당
들이 들어서 있고 횡단보도 근처에 SK덕천주유소가 자리하고 있다. 지금은 휴업중에 있는
주유소지만 낙남정맥의 한 구간을 끊는 지점인 탓에 많이 알려진 주유소이다.
▼낙남정맥 3구간 출발지점인 백토재입니다.
▼백토재 고갯마루 3구간 들머리에 있는 이정표와 산행안내도입니다.
▼임도와 만나는 곳에 있는 이정표입니다.
▼안남골고개로 가는 도중 자주 임도와 만나게 되는데, 그때마다 임도 우측으로 나있는 길을
따라 진행합니다. 임도를 따라 갈 경우 우회하여 가게 되므로 더 멀어집니다.
▼이곳 임도를 횡단하여 산길로 진행하면 곧이어 안남골고개와 만나게 됩니다.
▼안남골고개입니다.
▼다시 임도를 만나 진행합니다.
▼우측 237봉 감티봉으로 오르는 길에 시멘트 임도를 따라 진행합니다.
▼삼각점이 있는 봉우리로 237봉인 감티봉입니다. 지형도상 정식 명칭은 아니지만 누군가
감티봉이란 이름을 붙여 놓았는데, 고도 표시는 지형도에 나타난 것과는 다르게 표시되어
있습니다. 여기서 좌측방향으로 진행하게 됩니다.
▼옥정봉 역시 지형도에는 명칭이 없으나 누군가 이름을 붙여 놓았습니다.
▼옥정봉을 지나 마곡고개로 가는 길입니다.
▼마곡고개입니다.
▼마곡고개에 있는 이정표입니다.
▼원전고개로 가는 길입니다. 공사현장에서 직진방향입니다.
▼우측으로 보이는 2번국도와 경전선 철로를 건너기 위해 원전고개에서 지하통로를 이용하게
됩니다.
▼2번국도 지하통로에 있는 원전고개 이정표입니다.
▼2번국도 밑을 통과하면 경전선 철로 굴다리를 통과하게 됩니다.
▼경전설 철로 굴다리를 통과합니다.
▼경전선 철로 굴다리를 통과한 후 우측 마을길을 따라 진행하게 됩니다.
▼헬기장입니다.
▼사립재로 가는 길입니다.
▼삼각점이 있는 234.9봉으로 사립재입니다.
▼사립재를 지나면 넓은 임도를 만나게 되고 여기서 좌측 임도 옆으로 나있는 산길로 진행
하거나, 좌측 임도를 따라가도 다시 정맥길과 만나게 됩니다.
▼임도 갈림길에서 좌측 임도로 진행하다가 임도 좌측 산줄기를 따라가게 되는데, 곧이어 다시
임도로 내려서게 됩니다.
▼계속해서 임도를 따라 진행합니다.
▼농가주택앞으로 나있는 길을 따라 갑니다. 여기서 딱밭골고개로 가는 길에는 주변이 모두
농장이고 그 사잇길을 따라 가게 됩니다.
▼진행방향 좌측으로 진행하면 콘테이너박스를 지나 딱밭골고개로 내려가게 됩니다.
▼딱밭골고개로 내려가는 길입니다. 감나무밭 입구에서 절개지 철조망이 쳐진 곳으로 내려가
우측으로 약 80m 쯤 내려가면 철조망이 끝난 지점이 나오는데 여기로 빠져나와 고갯마루로
올라가거나, 감나무밭을 좌측으로 돌아 끝까지 가면 딱밭골고개로 내려가는 길이 있습니다.
그러나 감나무밭을 통과할 때는 사유지이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딱밭골고개 우측 아래쪽 철조망이 끝난 지점으로 빠져나오는 지점입니다.
▼딱밭골고개입니다.
▼딱밭골고개 좌측으로 감나무밭을 지나 고갯마루로 내려오는 길입니다. 이 길이 편리하지만
사유지 통과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딱밭골고개를 지나 정맥길을 따르는 길도 계속해서 감나무밭 가운데를 지나게 됩니다.
▼편백나무 숲을 지나면 사유지인 일신자연농장을 통과하게 되는데 주의가 필요합니다.
▼일신자연농원을 지나 내려오면 선덜재입니다. 1001번 지방도가 지나는 곳이지만 임도수준에
불과한 시멘트 포장도로입니다.
▼선덜재에서 15분쯤 지나면 나동 천주교공원묘지를 지나게 됩니다. 묘지 상단부로 나있는 길을
따라 공원묘지 끝까지 진행한 다음 시그널이 달려있는 산길로 진행하게 됩니다.
▼나동공원묘지 상단부로 나있는 길을 따라 계속 진행합니다.
▼끝에 보이는 공원묘지 상단부에서 직진방향으로 산길로 내려서서 덕천고개로 향하게 됩니다.
▼나동공원묘지를 지나 덕천고개로 가는 길입니다.
▼아래 보이는 덕천고개로 내려가는 길입니다.
▼덕천고개입니다. 횡단보도를 건너 SK덕천주유소 앞에서 산행을 종료하게 됩니다.
▼덕천고개는 2번국도가 지나는 곳으로 식당과 모텔, 온천 등이 들어서 있는 곳입니다.
▼진주에서 하동으로 연결되는 2번국도가 지나는 덕천고개입니다.
▼지금은 휴업중에 있는 SK덕천주유소 앞에서 산행을 종료합니다. 휴업중이지만 화장실 사용은
가능하고 여기서 간단히 씻을 수 있어 고마움을 전합니다.
'◆대간 & 정맥┣━━━ > 낙남정맥(終)'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낙남정맥 5구간] 계리재~봉전고개~무선산~돌장고개~객숙치~봉대산~양전산~부련이재 (0) | 2012.06.12 |
---|---|
[낙남정맥 4구간] 덕천고개~태봉산~유수교~비리재~실봉산~진주분기점~와룡산~계리재 (0) | 2012.05.31 |
[낙남정맥 2구간] 고운동재~길마재~칠중대고지~양이터재~돌고지재~천왕봉~백토재 (0) | 2012.05.11 |
[낙남정맥 1구간] 거림~세석대피소~영신봉~음양수~삼신봉~외삼신봉~묵계재~고운동재 (0) | 2012.05.08 |
낙남정맥(洛南正脈) 개요 (0) | 2012.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