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간 & 정맥┣━━━/한북정맥(終)

[한북정맥 9구간] 윗배다리~견달산~고봉산~일산가구단지사거리~장명산

법명(法明) 2011. 10. 12. 21:22

 

[한북정맥 9구간] 윗배다리~견달산~고봉산~일산가구단지사거리~장명산

 

 

산행일시 : 2011. 10. 8. 09:20~15:50 (소요시간: 6시간 30분, 식사 및 휴식시간 40분 포함)

○산행구간 : 윗배다리(09:20)-(4.8km)-견달산(10:20)-(2.0km)-예빛교회(10:45)

                   -(2.0km)-성동고개(11:10)-(1.0km)-고봉산 장사바위(11:30)-(1.3km)

                   -고봉산삼거리(11:50~12:20)-(1.0km)-108봉(12:40)-(1.6km)

                   -일산가구단지사거리(13:05)-(5.6km)-56번도로(14:25)-(1.9km)-핑고개(14:55)

                   -(1.1km)-장명산(15:30~15:40)-(0.3km)-곡능천(15:50)                                 

○산행거리 : 구간거리 22.6km/접속(이탈)거리 0km/총거리 22.6km 

○날씨 : 맑음

○구간특징

   -산행들머리 : 윗배다리 제512탄약중대앞

   -윗배다리 제512탄약중대 입구 삼거리에서 시멘트 도로를 따라 군부대 정문앞까지 진행함.

   -군부대 정문 직전에서 우측 산길로 접어들어 가다가 군부대 철조망을 따라 계속 진행함. 

   -군부대 정문에서 20분 정도 진행하면 철조망 우측으로 넓은 길이 있으며, 길을 따라 가면

     2차선 도로임. 

   -2차선 도로를 건너 산길로 들어서면 광목장 정문앞을 지남.

   -광목장 정문을 지나 완만한 산길을 오르면 삼각점이 있는 견달산 정상임.

   -견달산 정상 좌측으로 내려서면 2차선 도로 삼거리인 문봉동재임.

   -문봉동재 도로 이정표를 따라 동국대방향으로 직진하여 도로를 따라 계속 진행함.

   -예빛교회를 지나 맞은편 원각사 방향으로 들어가는 우측 비포장도로로 진행함.

   -군부대 철조망이 보이는 삼거리에서 우측길로 가다가 낡은 기와집을 지나 좌측 도로를 따름.

   -지금은 이전한 옛 군부대 정문 우측 담장 옆으로 난 길을 따라 계속 진행함.

   -한탄강매운탕 집 앞에서 좌측 도로로 진행하면 참빛교회를 지나 성동고개 고갯마루임.

   -성동고개에서 만경사, 영천사 방향 시멘트 도로를 따라 진행함.

   -만경사를 지나 영천사/장사바위 갈림길에서 시멘트 도로를 버리고 우측 장사바위 방향으로

     진행함.

   -고봉산 정상은 군부대가 주둔하고 있어 오를 수 없으며, 장사바위가 실제적인 고봉산 정상

     역할을 하고 있음.

   -장사바위에서 중산배수지 방향 이정표를 따름.

   -헬기장과 고봉정 정자를 지나면 중산고개로도 불리는 고봉산삼거리임.

   -고봉산삼거리에는 식당이 있어 식사가 가능함.

   -고봉산삼거리 횡단보도 건너 금정굴 방향으로 진행함.

   -108봉에서 진행방향 좌측으로 내려가면 호곡초등학교 앞 도로이며, 큰마을아파트 단지를

     통과하여 아파트 정문으로 진행함.

   -큰마을아파트 정문에서 우측 도로를 따라 경의선 철로 위 다리를 건너 직진함.

   -일산가구단지사거리 횡단보도를 건너 가구상가 골목길로 진행함.

   -한소망교회 좌측으로 진행하여 아미가 골프연습장 정문에서 맞은편 횟집옆 골목길로 진행함.

   -계속 도로를 따라 진행하다가 도로변 조형물이 설치된 지점에서 좌측으로 진행함.

   -월드메르디앙 아파트를 지나 들꽃유치원 방향으로 진행함.

   -56번 도로와 만나면 좌측 지하통로를 지나 우측 성재암 가는 길을 따름.

   -성재암 앞에서 좌측으로 진행하면 2차선 도로가 지나는 핑고개로 연결됨.

   -핑고개 고갯마루 버스정류장에서 우측 미진봉투사 가는 시멘트 길로 진행함.

   -미진봉투사 뒷쪽 능선을 따라 삼각점이 있는 산불초소봉으로 오름.

   -삼각점 확인하고 건축폐기물장 우측 가장자리를 따라 우측 맞은편에 보이는 봉우리를

     오르면 장명산 정상표지석이 있음.

   -장명산 정상석 우측 뒷쪽으로 내려가면 한북정맥의 끝인 곡능천변 도로에 내려섬.      

   -중간탈출로 : 구간내 수시

   -구간내 식수 보충장소 : 고봉산삼거리 식당, 호곡초교옆 에스엠마트(구입)

 

○길 찾기 요약

   윗배다리/탄약부대도로→부대정문 직전에서 우측산길→2차선도로 건넘→광목장 정문

   →견달산정상<60분>→정상직전 좌측방향→문봉동재→동국대방향/2차선→예빛교회<25분>

   →예빛교회 지나 우측 원각사방향 비포장→부대펜스앞 삼거리/우측진행→기와집/좌측

   →옛 부대정문/우측담장→계속 도로진행→한탄강매운탕앞/좌측→참빛교회→성동고개<25분>

   →만경사방향/시멘트길→만경사→장사바위방향→고봉산,장사바위<20분>

   →중산배수지방향→헬기장→고봉정→고봉산 삼거리도로<20분>/횡단보도→금정굴→펜스

   →108봉<20분>→108봉직전에서 좌측방향→도로건너 호곡초교옆길(에스엠마트옆)

   →큰마을아파트 통과→아파트 정문에서 우측→경의선교→일산가구단지사거리<25분>/횡단보도

   →가구단지 우측골목길→한소망교회 좌측→아미가골프연습장정문→골프장앞 골목길

   →6차선도로좌측/한울마을방향→해솔마을,가람마을방향→경기인력개발원 우측아래 도로

   →도로변 조형물/좌측→해솔마을방향→월드메르디앙 좌측옆→현대아이파크/우측

   →메르디앙2차/횡단보도→203동앞 도로→고인돌 안내판→들꽃유치원→56번도로<80분>

   →좌측 지하통로→성재암길→성재암앞에서 좌측→교하중교담장→지석묘→군부대 담장우측

   →2차선도로/좌측→핑고개<30분>→정류장에서 우측시멘트길→미진봉투사/뒷능선

   →산불초소봉(삼각점)→건축폐기물장 우측가장자리를 돌아→장명산 정상석<25분>

   →정상석우측 뒷쪽→벙커지나 곡능천변 하산<10분> 

 

고도표 

 

○GPS트랙

한북정맥9구간(윗배다리~장명산).gdb

 

○지형도

 

 

 

 

대성산 줄기를 이어받은 강원도 철원군 수피령 고개를 출발한지 어느덧 4개월이 지났다.

그리고 오늘 한북정맥의 마지막 구간 종주를 위해 윗배다리를 출발한다. 한북정맥의 종착지인

장명산까지는 대부분 도로를 따라 가는 길거리 정맥이다. 노고산 이후의 한북정맥은 가까스로

구릉성 줄기를 이어오다가 끝내 각종 개발에 잘리고 깎이어 그 맥을 온전히 이어가지도 못하고

주변의 도로에 흡수돼 버린 형국이다.

 

몇 달을 수고스럽게 이어왔으나 감격스러운 결말을 맺기에는 어울리지 않은 풍경이 기다리고

있는 구간이다. 그러나 여기서 흐지부지 끝낼 수는 없지 않은가? 현대화와 개발이라는 명목

아래 변해버린 정맥길을 확인해 보기 위해서라도 묵묵히 마지막 구간을 이어가려고 한다.

 

윗배다리 제512탄약중대 앞을 출발하여 포장도로를 따라 가다가 구릉지대를 오가며 견달산

으로 오른다. 견달산은 중국의 황제가 세숫대야에 비춰져 그 기운이 중국에까지 도달했다고

하여 견달산으로 부르며 다른 이름으로 본달, 번달, 현달로도 부르고 있다. 또한 산봉우리가

중국을 향하고 있어 일명 역적산이라 부르기도 한다


이 견달산은 하늘과 잘 통한다고 하여 고양시에서 비가 오지 않을 때 기우제를 지내는 산으로도

유명하다. 한국전쟁 당시 치열한 교전이 벌어지기도 한 군사 요충지며 지금도 산 곳곳에 군사

시설들이 자리해 있다. 산의 생김새가 예쁘고 아담하며 정상에서는 고양시 일대를 조망해 볼 수

있는 곳이지만 삼각점만 박혀있을뿐 정상은 동네 뒷산처럼 별 특징없는 모습이다. 

 

견달산을 내려와 문봉동재에서 고봉산(高峰山)으로 가는 길도 도로와 임도를 따른다.

고봉산은 208.8m의 높지 않은 산이지만 고양시 일산구에서는 이름처럼 가장 높은 산으로 옛

부터 태미산으로 알려져 있는 산이다. 이곳 고봉산은 높은 산봉우리 또는 봉화를 올린다는 뜻

에서 붙여진 이름으로 정상에는 봉수대가 위치하고 있다지만 지금은 군부대가 차지하고 있어

들어갈 수가 없다.

 

멀리서 보아도 산꼭대기에 커다란 안테나가 있어 다른 산과 쉽게 구별할 수 있는 모습인데,

삼국시대의 기록인 삼국사기에도 나오는 유명한 산으로 한강유역 일대를 두고 고구려, 백제,

신라가 치열한 접전을 벌인 군사, 교통, 전략상의 요충지였다고 한다.

 

고봉산 산허리를 돌아 장사바위와 고봉정을 지나 산을 내려오면 차량 통행이 빈번한 고봉산

삼거리에 이른다. 커다란 식당들이 자리하고 있어 여기서 점심식사를 하고 잠시 쉬어가기로

한다. 그리고 한국전쟁 당시 무참히 양민을 학살한 현장인 금정굴을 지나 108봉을 내려가면

산길은 끝이나고 장명산 입구까지 시내 도로와 외진 골목길 등을 지나게 된다.

그럴수록 정맥길을 놓칠세라 신경을 곤두세우고행한다.

 

일산가구단지를 지나 핑고개 뒷쪽 능선을 타고 삼각점과 산불초소가 있는 봉우리를 향한다.

아래쪽으로는 장명산을 통째로 깎아버리고 그자리에 건설폐기물장을 만들어 놓은 듯 황량한

모습만이 내려다 보이고 낡은 산불초소가 있는 한쪽 귀퉁이 언저리에 삼각점을 박아 놓았다.

 

지형도상에는 정상이 102m로 표시되어 있지만 삼각점이 있는 지점은 고도가 채 80m를 넘지

않으며, 지형도 위치상으로 정상과 100m 정도 떨어져 있어 정상으로 보기에는 설득력이 없어

보인다. 절개지 아래 넓은 인공 안부 공터인 폐기물장을 둘러 좌우로 산줄기가 뻗어있는데

폐기물장 우측 봉우리가 보기에도 더 높아 보인다. 그래서 그런지 우측 봉우리에 장명산 정상

표지석을 세워놓고 이 봉우리를 장명산 정상으로 삼고 있다. 곡능천이 훤히 내려다 보이고

조망이 약간 트여 있는 곳으로 고도가 82m를 나타내고 있는 곳이다.

 

장명산은 일명 약산이라고도 한다. 산 주위엔 구절초가 자생하고 있어 이를 많이 복용한

주민들은 수명이 연장되었다고 하여 장명(長命)이라 불렀다 한다. 옛날 조선시대 때 한 아낙

아이 갖기를 소원한 나머지 장명산 중턱에 위치한 약수터에 올라가서 약수물에 밥을 지어

먹고 구절초 달인 물을 먹으면서 치성을 드린 후에 아이를 갖게되자 그 소문이 한양 땅에

퍼졌다 한다. 이후 아이를 갖지 못한 양반댁 부인들이 매년 음력 9월9일에 장명산에 올라

약수물에 밥을 지어 먹고 구절초 달인 물을 먹어서 아이를 갖게 된 일이 많다는 전설이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 한다.

 

장명산 정상에서 북쪽 벙커를 따라 10분정도 내려서면 한북정맥이 꼬리를 내린 곡능천에

닿는다. 분단의 정맥으로 대성산에서 기세좋게 내려오던 산줄기가 장명산 곡능천에 이르러

이제 그 맥을 다하는 곳이다.

 

우리 땅, 우리 산줄기의 맥을 따라 떠난 여정에 어렵고 힘든 일들이 어찌 한 두번 뿐이랴

마는 순간순간 의지와 인내와 희망을 버리지 않고 한 걸음 한 걸음이 쌓여 또하나의 정맥길을

종주하였다는 기쁨에 그동안의 힘들었던 기억들은 아름다운 추억으로 바뀌어 버린다.

그리고 머리속은 이미 또다른 산줄기를 따라 앞서 걸어가고 있다.

 

 

▼한북정맥 마지막 구간 출발에 앞서 단체사진 한 장을 남기고 산행을 시작합니다.

 

▼윗배다리 제512탄약중대 입구 삼거리에서 탄약중대 방향으로 진행합니다.

 

▼군부대 정문 직전까지 계속해서 시멘트도로를 따라 진행합니다.

 

▼군부대 정문 100m 전방에서 우측 산길로 접어듭니다. 군부대 정문까지 계속 도로를 따라

  진행한 후 우측 산길로 접어들어도 이 길과 만나게 됩니다. 

 

▼군부대 정문입니다. 정문 우측 산길로 진행합니다.

 

▼산길로 조금만 지나면 방금 전에 지나왔던 군부대의 철조망을 만나게 됩니다.

 

 

▼군부대 철조망을 만나게 되면 계속해서 철조망을 따라 진행합니다.

 

 

 

▼군부대 정문에서 20분정도 지나 철조망 우측으로 넓은 길을 따라 진행하게 됩니다. 

 

▼전주를 지나면 앞쪽으로 지나는 2차선도로를 건너 산길로 접어듭니다. 

 

▼광목장 정문앞을 지납니다.

 

▼광목장 정문앞을 가로질러 가는 길입니다.

 

▼편안한 야산지대를 따라 견달산으로 오르는 길입니다.

 

▼운동시설과 벤치가 있는 견달산 직전 삼거리입니다. 견달산은 여기서 10m 거리입니다.

 

▼견달산 정상입니다. 아무 표식도 없고 삼각점만 박혀있습니다.

 

 

▼견달산을 내려와 2차선 도로와 만나는 지점입니다.

 

▼2차선 도로인 문봉동재입니다. 삼거리에서 직진방향(동국대방향)으로 도로를 따라 진행합니다. 

 

 

▼문봉동재에서 계속 도로를 따라 가는 길입니다.

 

▼도로 건너편에 예빛교회 표지판이 보이는데 문봉동재에서 여기까지 18분 거리입니다.

 

▼예빛교회 맞은편으로 원각사 방향 비포장도로를 따라 들어갑니다.

 

▼원각사 방향으로 가는 길입니다.

 

▼군부대 펜스가 보이는 삼거리길에서 우측방향으로 계속 진행합니다.

 

▼낡은 기와집을 지나면 좌측길입니다.

 

▼지금은 다른 곳으로 이전된 듯한 옛 군부대 정문 우측 담장을 따라 진행합니다.

 

▼한탄강 매운탕 앞에서 좌측도로입니다.

 

▼참빛교회를 지나면 고갯마루가 성동고개입니다. 성동고개에서 우측 만경사,영천사 방향으로

  진행합니다. 

 

▼성동고개입니다. 여기서 만경사, 영천사 방향으로 오르면 고봉산 가는 길입니다.

 

 

▼고봉산 정상은 군부대가 위치하고 있어 들어갈 수 없고 우측 장사바위쪽으로 돌아 중산배수지

  방향으로 진행하게 됩니다. 만경사를 지나 영천사 방향으로 좌측으로 돌아가도 되지만 장사바위

  가 고봉산 정상을 대신하고 있기 때문에 장사바위 방향으로 가는 편이 좋습니다.

 

▼만경사입니다.

 

▼만경사를 지나면 도로 우측에 영천사/장사바위 갈림길 표시가 있습니다. 여기서 시멘트길을

  버리고 우측 산길로 진행합니다.

 

▼고봉산 장사바위입니다.

 

 

▼장사바위 위에서의 조망입니다.

 

▼장사바위에서 중산배수장 방향으로 좌측길입니다.

 

 

▼중산배수지 방향으로 가는 길입니다.

 

▼헬기장을 지납니다.

 

 

▼고봉정 정자를 지납니다.

 

▼고봉산을 내려오면 98번 도로가 지나는 고봉산삼거리(중산고개)입니다.

 

▼고봉산 삼거리에 식당들이 있습니다.

 

▼고봉산삼거리에 있는 순두부마을에서 점심식사를 하면서 잠시 쉬었다 갑니다.

 

▼고봉산삼거리 횡단보도를 건너 금정굴 방향으로 진행합니다.

 

 

▼금정굴은 한국전쟁 당시 부역자를 색출한다는 명분아래 수많은 양민을 학살한 현장이라는

  안내문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구덩이를 파고 양민들을 학살하여 매장한 금정굴 내부입니다.

 

▼금정굴을 지나 야산지대를 통과합니다.

 

▼철조망을 따라가면 108봉입니다.

 

▼108봉입니다. 정맥길은 여기서 좌측으로 내려가는 길입니다.

 

▼108봉 표지판과 삼각점입니다.

 

 

▼108봉을 내려와 앞쪽에 보이는 큰마을아파트 단지를 가로질러 통과해야 됩니다.

 

▼도로를 건너 큰마을아파트로 들어가는 길입니다. 좌측은 호곡초등학교이고

  우측은 에스엠마트입니다.

 

 

▼큰마을아파트 정문으로 나오면 도로 우측방향으로 진행하게 됩니다.

 

▼큰마을 아파트 정문 경비실에서 우측방향입니다.

 

▼경의선 철로위 다리를 건너 직진입니다.

 

 

▼일산가구단지사거리 횡단보도를 건너 가구상가앞 골목길로 진행합니다.

 

▼일산가구단지 상가입구에도 식당이 하나 있습니다.

 

▼도로를 따라 계속 진행합니다.

 

▼우측 맞은편 한소망교회 건물 좌측으로 진행하면 맞은편에 골프연습장이 보입니다.

 

▼아미가 골프연습장이 보이는 곳에서 좌측으로 돌아가면 골프장 정문입니다.

 

▼아미가골프장 정문입니다. 정문앞으로 지나지 말고 맞은편 골목길로 진행해야 됩니다.

 

▼아미가골프장 맞은편 횟집 건물옆으로 직진입니다.

 

▼골목길을 따라 계속 가면 6차선 도로와 만나게 됩니다.

 

▼6차선 도로와 만나게 되면 좌측방향입니다.

 

▼한울마을방향으로 도로를 따라 진행합니다.

 

▼해솔마을,가람마을 방향으로 진행합니다.

 

 

▼도로를 따라 가다보면 좌측 언덕위에 경기인력개발원이 보입니다.

 

 

▼도로변에 있는 조형물입니다.

 

 

▼조형물이 있는 곳에서 도로 건너 좌측방향입니다.

 

▼해솔마을 방향입니다.

 

 

▼월드메르디앙 아파트옆을 지납니다.

 

 

▼여기도 머지않아 새로운 아파트단지가 들어서게 될 것 같습니다. 본래 정맥길은 좌측에

  보이는 아파트 옆으로 난 도로를 따라가면 됩니다.

 

 

▼지석묘가 있는 비포장 길을 따라 진행합니다.

 

▼들꽃유치원 앞을 지납니다.

 

 

 

▼56번 도로와 만나게 되면 좌측 지하통로를 지나 우측 성재암 방향으로 올라가야 됩니다.

 

▼56번 도로를 건너 성재암 방향으로 진행합니다.

 

▼성재암 앞에서 좌측방향입니다.

 

▼성재암에서 식수보충이 가능합니다.

 

▼성재암입니다.

 

▼성재암을 지나 핑고개로 가는 길입니다.

 

▼핑고개 가는 길에 군부대 담장을 따라 진행합니다.

 

▼2차선 도로를 만나면 좌측 고갯마루 버스장류장이 핑고개입니다.

 

▼핑고개 버스정류장에서 우측 시멘트도로를 따라 들어갑니다.

 

▼핑고개 시멘트 도로를 따라 가는 길입니다.

 

 

▼미진봉투사 뒷쪽 능선을 타고 갑니다.

 

▼미진봉투사 뒷쪽 능선으로 오르는 지점입니다.

 

▼장명산 산불초소와 삼각점이 있는 곳입니다. 여기서 폐기물처리장으로 내려가 우측 능선을

  따라가면 장명산 정상석이 있습니다. 폐기물처리장 좌측 능선은 정맥길이 아닙니다.

 

 

▼한북정맥의 마지막 봉우리인 장명산 정상입니다. 본래는 폐기물처리장이  있는 곳이 장명산

  정상이었지만 산을 깎아내린 탓에 해발 82m인 이곳을 장명산 정상으로 대신하고 있습니다.

 

 

▼드디어 한북정맥 종주를 마치게 됩니다.

 

 

 

 

 

▼한북정맥이 그 맥을 다하는 곡능천입니다.


한북정맥9구간(윗배다리~장명산).gdb
0.04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