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간 & 정맥┣━━━/한남정맥(終)

[한남정맥 8구간] 백석고개~할메산~가현산~스무네미고개~수안산~장승고개

법명(法明) 2011. 4. 25. 21:37

 

[한남정맥 8구간] 백석고개~할메산~방아재고개~가현산~스무네미고개~수안산~장승고개

 

 

산행일시 : 2011. 4. 23. 09:25~15:30 (소요시간: 6시간 05분, 식사 및 휴식시간 20분 포함)

○산행구간 : 백석고개(09:25)-(0.7km)-골막산(09:35)-(0.2km)-종알고개(09:40)-(1.2km)

                   -할메산(10:00)-(1.6km)-문고개(10:25)-(0.9km)-방아재고개(10:40)-(0.5km)

                   -현무정(10:50)-(1.3km)-서낭당고개(11:05)-(0.5km)-세자봉(11:15)-(1.4km)

                   -가현산(11:40~12:00)-(2.4km)-스무네미고개(12:40)-(3.3km)-학당수퍼(13:30)

                   -(1.5km)-수안산(14:00)-(1.7km)-대곶신사거리(14:25)-(1.9km)-2차선도로(14:55)

                   -(2.1km)-장승고개(동인기연앞)(15:30)

○산행거리 : 구간거리 21.2km/접속거리 0km/총거리 21.2km 

○날씨 : 맑음

○구간특징

   -산행 들머리 : 백석고개

   -백석고개 전라도정식 식당과 S-OIL 주유소 사잇길로 진행하며, 좌측 골막산으로 올라섬.

   -골막산을 내려와 만나는 4차선도로가 종알고개이며, 도로를 건너 백석스포렉스 골프연습장

     좌측으로 진행함.

   -할메산 정상은 정상이정표와 삼각점이 있음.

   -할메산을 내려오면서 묘지를 만나면 묘지 좌측으로 내려와 밭길을 따라가면 롯데마트가 보임.

   -롯데마트앞 도로 횡단보도를 건너 우측으로 진행하면 금호어울림아파트 앞 도로변에 한남정맥

     가는길 안내판이 있으며, 천주교 마전동묘지 방향으로 진행함. 

   -천주교 마전동묘지를 지나가면 6차선도로가 있는 문고개임.

   -문고개 6차선도로 횡단보도를 건너 검단복지회관앞으로 진행함.

   -검단복지회관을 지나 우측으로 휘어지는 길을 따라가면 검단고등학교이며, 학교앞 도로변이

     검단네거리 방아재고개임.

   -검단네거리 횡단보도를 건너 직진방향으로 검단배수지 방향으로 진행함.

   -도로 좌측편 검단배수지로 올라가면 인라인스케이트장이 있으며, 스케이트장을 반바퀴 돌아

     정자옆으로 지나가면 활터인 현무정 입구임.

   -현무정 활터 과녘판 뒷쪽으로 야산지대를 따라가면 서낭당고개를 지나 세자봉으로 오르는 길임.

   -세자봉을 내려와 군부대가 주둔해 있는 봉우리 하나를 더 넘으면 가현산 정상임.

   -가현산 정상엔 특이한 정상석이 있으며, 주변은 온통 진달래동산이고 조망이 매우 좋음.

   -가현정 정자를 지나 가현산을 내려오면 4차선도로와 구도로가 나란히 지나는 스무네미고개임.

   -대전차방어턱이 있는 스무네미고개 우측으로 마루금이 이어짐.

   -야산지대를 통과하면 작은 공장지대 시멘트도로와 만나며, 효성기연 공장앞을 지나 2차선도로와

     만나는 지점(대농주유소옆)에서 좌측으로 도로를 따라 진행함.

   -학당수퍼앞에서 도로를 건너 성진테크 안으로 들어가서 좌측 포도밭 가장자리를 따라 진행함.

   -수안산 정상은 넓은 평지로 헬기장과 정자 돌탑이 있으며, 잔디가 깔려있고 조망이 좋음.

   -수안산을 내려오면 대곶신사거리이며, 횡단보도를 건너 직진방향으로 진행함.

   -또다시 야산지대를 지나면 만덕사입구 2차선도로와 만나게 되며 여기서 부터 도로를 따라 계속

     직진함.

   -2차선도로는 장승고개까지 2.1km 이어지며, 중간에 식당과 가게, 장승첨단산업단지 입구,

     뉴팜공장을 지나게 됨.

   -동인기연 입구에 산길로 접어드는 곳에 장승이 서있으며, 여기가 장승고개임.   

   -중간탈출로 : 수시가능

   -구간내 식수 보충장소 : 상가(구입)

 

○고도표 

 

○GPS트랙  

한남정맥8구간(백석고개~장승고개).gdb

 

○지형도 

 

 

 

고갯마루라고 불리기가 어색한 백석고개를 출발하여 전라도정식 식당과 S-OIL주유소 사잇길

낮은 언덕을 올라서면 백석마을 뒷산인 골막산이다. 산이라고 부르기엔 민망할 정도로 낮은 해발

73.6m 높이다. 능선을 내려서면 쓰레기 매립장과 연결된 쓰레기도로가 가로막는다.

백석스포렉스가 있는 고개는 종알거리며 넘었다고 해서 붙여진 종알고개다.

 

백석스포렉스 골프연습장 그물망 좌측으로 열려있는 완만한 오름길을 따라가면 정상 이정표

삼각점이 있는 할메산 정상이다.

국립지리원 삼각점과 군사용으로 설치한 삼각점이 있는 정상엔 포탄피로 만든 쇠종이 걸려있다.

포탄 한발이면 남북한의 경계를 넘나드는 지점이라는 생각을 하니 조금은 섬뜩해지는 느낌이다.

 

할메산을 내려와 마전동 천주교 묘지를 지나면 임진왜란 성문 노릇을 했다는 문고개를 만난다.

지금은 4차선 도로가 지나는 한쪽에는 문고개 마루금 안내판이 세워져 있다.

다음에 지나야 방아재고개도 그렇고 서낭당고개도 그렇고 개발이란 명분아래 흔적도 없이

사라져 버린 마루금을 안내도에 그려 세워놓은 것만으로도 우리 , 우리 산줄기에 대한 애정

어린 마음을 조금이나마 엿볼 있어 다행이란 생각이 든다. 이제껏 보지 못한 모습에 인천시

서구청의 양식있는 분들께 감사함을 전한다.

 

드넓은 서해안 갯벌의 흙이 검고 석양에 붉게 노을이 지면 갯벌이 홍학의 날개와 같이 붉게 물든

하여 검단(黔丹)이라는 이름을 가진 것으로 보이는 검단동은 무분별한 신도시 개발로 방아재

고개 마루금의 원형을 찾아볼 수가 없게 되었고 힘들고 어렵게 맥을 이어가고 있다.

능선의 형태는 다양하다. 짧게 끝나버리는 지능선이 있는가 하면수백 킬로미터를 이어가는

길다란 능선도 있다. 그러나 사라진 능선을아나서는 일은 소중한 경험인지도 모르겠다.

그래서 흔적도 없는 마루금일지언정 아무데로 가지않고 예전의 맥을 찾아 어렵게 찾아 가는지도

모르겠다.

 

서낭당고개에서 작은 가현산이라고 불리는자봉으로 오르는 길은 제법 가파르다.

세자봉을 지나 군부대가 주둔해 있는 봉우리 하나를 더 넘어가면 오랜만에 빼어난 조망을 자랑

하는 가현산 줄기에 발을 들여놓게 된다. 마을 사람들의 각별한 가현산 사랑의 흔적을 여기저기서

찾아볼 수가 있다. 비석과 제단 형태를 띠고 특이하게 서있는 정상석 안내판, 온통 진달래가 만발

해 있는 가현산 정상에서 잠시나마 여유를 즐겨본다.

 

가현산은 인천 서구와 김포시 양촌면 경계에 위치한 해발 215.3m의 산, 비록 높지 않은 산이지만

정상에 서면 동으로는 서울 남산, 서쪽은 서해 바다와 강화도, 북으로는 한강과 김포평야가 한 눈

에 내려다 보이는 전망좋은 산이다.
고려시대 때는 산의 형세가 코끼리 머리와 같이 생겼다고 해서 상두산(象頭山)이라고 불려 오다가

칡이 번성하여 갈현산(葛峴山)이라고도 불렸고, 서해바다로 지는 낙조와 황포돛대가 어울릴 것

같은 경관을 감상하면서 거문고를 타며 노래를 불렀다고 해서 가현산(歌絃山)이라고 고쳐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가현산 팔각정을 지나 스무네미고개로 내려선다. 중앙분리대가 설치된 고갯마루에는 대전차방어

턱이 하니 버티고 서있다. 이제 드디어 김포시내로 접어들면서 한남정맥은 넓은 김포평야를

만나며 더욱 쇠약해진 모습을 보이지만 그러나 꿋꿋이 그 생명력을 이어간다.

그러한 가운데서도 이번 구간 최고봉인 가현산의 위세는 사뭇 당당하기도 하며, 수안산, 학운산 등

이름을 가진 산들이 이어져 간다.

 

수안산은 대곶면의 주산으로서 표고 146.8m의 정상에 고성이 축조되어 있었다고 한다.

동국여지승람이나 통진읍지에 의하면 부남 20리에 있으며 성 주위는 2(800m), 높이는 십척

( 3m)이라 기록되어 있고 봉수대가 있다는 기록이 있지만 지금은 넓다란 평지에 돌탑과 정자,

헬기장이 자리하고 있으며, 지나온 마루금이 한눈에 내려다 보이는 뒷동산 같은 산이다. 

 

수안산을 내려오면 대곶면 시내를 통과하여 야트막한 야산지대를 넘어간다. 그리고 산길은 끝난듯

2차선도로가 쉼없이 이어진다. 도로변에는 유난히 많은 한식부페 식당도 자리하고 있고 장승첨단

산업단지 입구를 지나기도 하면서 무려 2.1km 도로를 따라가면 산길로 들어서기 직전 잘 깎아 세워

놓은 장승이 보이는데 이곳이 8구간 산행종점인 장승고개다. 바로 직전에 뉴팜공장 표지석이 있어

뉴팜삼거리라고도 불리는데, 장승이 서있는 곳이 동인기연 회사입구기도 하다.

 

이제 한남정맥도 마지막 한 구간을 남겨놓은 지점이다. 산행시간 보다도 차를 타고 이동하는 시간이

많아 더 힘들었던 한남정맥 종주지만 흔적조차 찾기힘든 옛 마루금을 더듬으며 이곳까지 왔다는

것이 자랑스럽고 보람있는 일임을 깨닫게 해준다. 마지막 남은 한 구간이 기다려진다.

 

 

 

▼백석고개 전라도정식 식당과 S-OIL주유소 사이 골목으로 진행합니다.

 

▼Y자형 갈림길에서 좌측길로 들어가면 골막산을 올라 백석스포렉스 앞 종알고개로 내려서게

  됩니다. 우측편에 보이는 녹색 그물망이 보이는 곳이 백석스포렉스 골프연습장입니다.

 

▼해발 73.6m 골막산으로 오르는 길입니다.

 

▼마루금은 골막산 정상 직전에서 우측으로 돌아가게 되어 있으며, 정상을 20여미터 지나면

  무슨 용도인지는 모르지만 굴뚝모양의 조형물이 서있습니다. 골막산 정상은 산행로에서 1분

  거리입니다.

 

▼골막산을 내려오면 종알거리며 넘었다고 해서 이름 붙여진 종알고개입니다.

  4차선도로 맞은편으로 백석스포렉스 건물이 보이는데, 마루금은 골프연습장 좌측편으로

  열려있습니다.

 

▼군데군데 진달래가 피어 있는 길을 지나 할메산으로 향합니다.

 

▼할메산 정상입니다. 인천 서구지역을 통과할 때 까지는 주요 지점마다 이와같이 '한남정맥 가는길'

  안내판이 세워져 있어 산행에 많은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할메산 정상부는 정비가 되어 있지 않습니다.

 

▼할메산을 내려가는 도중에 묘지를 지나는데, 묘지를 지나자마자 좌측으로 내려가면 롯데마트

  건물이 보이고 정맥길은 도로를 건너 롯데마트 우측으로 진행합니다.

 

▼횡단보도를 건너 롯데마트 앞에서 뒤돌아본 모습입니다.

 

▼롯데마트 우측으로 지나오면 현위치 '금호베스트빌'을 가르키는 정맥길 안내도가 설치되어 있는

  곳에서 금호어울림아파트 앞을 지나 천주교묘지로 올라갑니다.

 

▼금호어울림아파트 앞에서 좌측편으로 천주교묘지가 보입니다.

 

▼천주교 마전동 묘지를 거슬러 올라갑니다.

 

▼천주교묘지를 따라 작은 야산을 넘으면 6차선 시내도로가 있는 문고개입니다.

 

▼문고개 6차선도로 횡단보도를 건너 우측 검단복지회관 앞으로 진행합니다.

 

▼문고개 6차선도로 횡단보도를 건너면 바로 검단복지회관 버스정류장입니다.

 

▼검단복지회관 앞을 지납니다.

 

▼가로등 전주에 한남정맥 가는 길이 표시되어 있는 곳을 따라 검단고등학교 앞길로 향합니다.

 

▼검단고등학교 앞입니다. 학교앞 교차로가 검단네거리인 방아재고개입니다.

 

▼검단네거리 횡단보도를 건넌 후에 걸어온 길을 되돌아봅니다.

  좌측에 보이는 건물이 검단고등학교이고 이곳이 방아재고개입니다.

 

▼검단배수지 방향으로 진행합니다.

 

▼도로 좌측편에 있는 검단배수지로 들어가면 인라인스케이트장이 있습니다.

 

▼인라인스케이트장을 반바퀴 돌아 좌측편 정자옆으로 진행합니다.

 

▼활터인 현무정 안으로 들어갑니다.

 

▼현무정 활 과녘판 뒷쪽으로 마루금이 이어집니다.

 

▼편안한 산책길을 따라 우측에 보이는 세자봉으로 향합니다.

 

▼세자봉 직전 서낭당고개 이정표가 있는 안부를 지납니다.

 

▼서낭당고개를 지나면서 내려다 봅니다.

 

▼세자봉 가는 길을 따라 오릅니다.

 

▼세자봉 정상 오르는 길은 한참동안 힘든 계단길을 올라야 합니다.

 

▼세자봉 정상에는 정자와 벤치가 놓여있어 잠시 쉬어갈 수 있는 곳입니다.

 

▼세자봉을 내려오면 묘각사입구입니다. 마루금은 우측 산길로 열려있습니다.

 

▼묘각사입구에서 가현산으로 오르는 길은 폐타이어 계단길이 놓여있습니다.

 

▼가현산 정상인줄 알고 올랐는데 군부대 철조망이 둘러져 있습니다. 가현산은 이곳을 내려갔다가

  다시 올라서는 곳에 있습니다.

 

▼군부대를 내려오면 음료수등을 파는 안부를 지나 가현산 정상석이 있는 진달래동산으로 향하게

  됩니다.

 

▼진달래 꽃길이 시작됩니다.

 

▼한남정맥 8구간 최고봉인 가현산 정상입니다.

 

▼비석모양과 제단 형식의 특이한 모습으로 설치된 가현산 정상석입니다.

 

▼가현산 정상석 앞으로는 돌탑과 진달래 꽃길이 이어집니다.

 

▼정상석 옆으로 가현산수애단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가현산에서 바라 본 가야할 마루금입니다.

 

 

▼가현산 정상에서의 조망도입니다.

 

▼위 조망도 방향으로 바라보지만 운무로 인해 서해바다는 분간하기가 어렵습니다.

 

▼가현산 정상 진달래동산에는 갖가지 모양의 솟대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가현산 진달래동산의 화사함을 뒤로하고 또다시 마루금을 이어갑니다.

 

 

 

 

▼가현산 정상을 조금 지나면 가현정이란 정자가 있습니다.

 

▼가현정 정자 바로 아래에 못생긴 바위덩어리 세 개가 놓여있는데, 삼형제바위라는 이름표가

   없다면 그냥 지나쳐 버릴 것 같은 바위입니다.

 

▼가현산을 내려오면 4차선도로를 만나게 되는데 도로를 횡단하여 우측으로 이어지는 마루금으로

  올라서야 됩니다.

 

▼4차선도로를 건너 우측으로 구도로를 따라 올라가서 만나는 곳(김포골드밸리 간판 우측)이

  스무네미고개입니다.

 

▼우측 마루금을 이어가기 위해서 스무네미고개로 올라가는 길입니다.

 

▼스무네미고개에서 옆으로 난 신도로를 내려다 보면 무시무시한 콘크리트 구조물이 보이는데

  이것이 대전차방어턱이라고 합니다.

 

▼스무네미고개를 지나면서 내려다 본 모습입니다.

 

▼스무네미고개를 지나 마루금으로 올라서면 좌측 산사면 전체가 벌목된 곳을 지납니다.

  무슨 용도로 개발을 하는지 알 수가 없습니다.

 

▼계속해서 북서쪽으로 이어져 가는 마루금으로 앞쪽에 수안산도 바라보입니다.

 

▼야산지대를 내려와 작은 시멘트도로를 건너갑니다.

 

▼위 사진에서 야산을 지나 15분쯤 가면 공장지대가 시작되는 시멘트도로를 만나게 됩니다. 

 

▼효성기연앞으로 진행합니다.

 

▼효성기연을 지나 2차선도로를 만나는 곳에 대농주유소가 있는데, 이곳 주유소 옆에서 진행방향

  좌측으로 계속해서 2차선도로를 따라 가면 학당수퍼 앞입니다.

 

▼2차선도로를 따라가는 길입니다.

 

▼도로변 학당수퍼앞에서 앞쪽으로 도로를 건너 진행해야 됩니다. 대부분 이곳에서 많이들 쉬었다

  가는 곳인데, 폐업인지 휴업인지 영업을 하지 않은 것 같습니다.

 

▼학당수퍼 맞은편 성진테크 안으로 진행합니다.

 

▼포도밭 가장자리를 지나 다시 마루금으로 올라섭니다.

 

▼남쪽엔 목련이 진지가 한달도 지난 것 같은데 김포는 아직 한창입니다.

 

▼수안산 정상입니다.

 

 

▼삼각점과 돌탑이 정상석을 대신하고 있는 수안산 정상입니다.

 

 

▼수안산에서의 조망입니다. 오늘 걸어왔던 마루금이 한눈에 들어옵니다.

 

▼수안산을 내려오면 앞쪽으로 보이는 마을이 대곶면입니다.

 

▼수안산을 내려오면 대곶신사거리로 가는 잘 닦여진 포장도로를 만나게 됩니다.

 

▼대곶신사거리 횡단보도를 지나 직진입니다.

 

▼대곶중학교 앞을 지나갑니다.

 

▼대곶면 주민자치센터 방향으로 진행합니다.

 

▼대곶면을 지나 다시 야산지대로 들어섭니다.

 

▼마루금을 깎아내린 현장을 이리저리 피해 지나가는 구간입니다.

 

▼대곶면 야산지대를 넘으면 만덕사입구 2차선도로를 만나게 되는데, 2차선도로를 따라 장승고개

  까지 계속 직진입니다.

 

▼2차선 도로를 따라 계속 진행합니다.

 

▼도로변에 한식부페며 기타 식당 여러 곳을 지나치게 됩니다.

 

▼장승첨단산업단지 입구를 지나게 되는데, 이곳에도 장승이 서있어 잠시 장승고개로 착각했습니다.

  실제 장승고개는 도로를 따라 좀 더 진행해야 됩니다.

 

▼뉴팜 공장앞을 지납니다.

 

▼우측에 보이는 건물이 (주)동인기연인데, 입구 도로변에 장승이 서있는 곳이 장승고개입니다.

 

▼장승고개 입간판에도 장승백이라는 마을이름이 적혀있습니다.

 

▼(주)동인기연 입구 도로변에 장승이 서있는 이곳이 장승고개입니다. 한남정맥 마지막 구간을

  남겨놓고 장승고개에서 8구간 산행을 종료합니다.

 

▼장승고개에 서있는 장승입니다. 자세히 보면 줄기가 두갈래로 갈라진 나무 한그루를 통째로 뽑아

  거꾸로 세워놓고 장승을 조각해 놓은 모습이 특이합니다.

한남정맥8구간(백석고개~장승고개).gdb
0.14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