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명산┣━━━━/인기명산·근교산

[작대산~천주산] 무기마을회관~서봉~작대산(청룡산)~양미재~농바위(상봉)~천주산 용지봉~호연봉~보등산~무기마을

법명(法明) 2014. 12. 21. 21:17

[작대산~천주산] 무기마을회관~서봉~작대산(청룡산)~양미재~농바위(상봉)~천주산 용지봉~호연봉~보등산~무기마을

 

 

산행일시 : 2014. 11. 26. 08:25 ~ 15:55 (소요시간: 7시간 30분, 휴식시간 80분 포함)

○산행구간 : 무기마을회관(08:25)-(0.45km)-작대산 산행안내도(08:35)-(1.65km)

                    -능선갈림길(09:20)-(0.5km)-서봉(09:40~09:45)-(0.4km)

                    -작대산(청룡산)(09:55~10:05)-(2.3km)-양미재(11:00)-(1.5km)

                    -농바위(상봉)(11:40~12:30)-(1.2km)-천주산 용지봉(12:55~13:05)-(1.4km)

                    -정맥갈림길(금강계곡갈림길)(13:35)-(1.4km)-호연봉(14:10~14:15)-(1.1km)

                    -보등산(14:35)-(3.3km)-공단 등산로입구(15:50)-(0.4km)-무기마을회관(15:55)

○산행거리 : 구간거리 15.6km

○날씨 : 오전 흐림, 오후 맑음

○구간특징

   -산행 들머리 : 함안군 칠원면 무기마을회관

   -함안군 칠원면 무기마을회관 앞을 출발하여 마을길을 따라 300m쯤 들어가다가 우측길로

     진행하면 작대산 산행안내도가 있음.

   -작대산 산행안내도 좌측방향 임도를 따라 서봉을 향해 오르면 1,2코스 산행로와 만나는

     능선갈림길을 만나고 계속해서 능선을 오르면 서봉임. 

   -서봉은 정상석이 없으나 119조난위치표지판과 이정표가 있으며, 정상에 무덤1기가 있음.

   -서봉에서 400m 거리에 작대산 정상이 있으며, 청룡산으로도 불리는 곳으로 정상석과 삼각점,

     헬기장, 정자가 있는 작대산 정상에서는 조망이 좋음.

   -작대산 정상에서 천주산 방향으로 500m쯤 지나면 무릉산 갈림길을 지나며, 양미재 방향으로

     내리막길이 이어지다가 잠시 너덜길 오르막을 지나 다시 내려감.

   -양미재는 산정마을 갈림길 이정표가 있는 안부이며, 여기서 농바위(상봉)까지는 오르막길임.

   -농바위에는 정상석이 있으며, 창원외곽고속도로가 내려다 보이는 등 조망이 좋음.

   -농바위를 내려가면 임도와 만나는 안부이며, 여기서 좌측은 창원시이고 우측은 함안군으로

     넓은 안부엔 쉼터가 있는데, 여기서 천주산 정상까지는 15분정도 오르막길이 이어짐.

   -용지봉은 천주산 주봉으로 정상석과 헬기장, 정자가 있으며, 낙남정맥이 지나는 곳임.

   -용지봉 정상석 앞에서 진행방향 우측으로 낙남정맥길을 따라 진행함.

   -천주산에서 호연봉 가는 길에는 여러 곳에 갈림길이 있는데, 이정표를 잘 보고 진행해야 됨.

   -소계.구암갈림길에서 제2금강산능선 방향으로 진행함.

   -제2금강산갈림길에서 장등산 방향으로 진행함.

   -금강계곡과 장등산 갈림길이 있는 곳이 낙남정맥 갈림길이며, 여기서 금강계곡 방향이

     낙남정맥길이고 호연봉을 지나 무기마을로 가는 길은 장등산 방향임.

   -안성마을 갈림길에서 대동다숲아파트 방향으로 진행함.

   -호연봉은 일명 갓먼당으로 정상석이 있으나 조망은 막혀있음.

   -산정저수지 갈림길에서 대동다숲아파트 방향으로 진행함.

   -이정표없는 갈림길에서 능선길을 따라 우측방향으로 진행하면 예곡마을 갈림길 이정표가

     있고 쉼터가 있는 곳이 보등산임.

   -보등산에서 작은간티고개 방향으로 진행함.

   -보등산을 지나면서 만나는 이정표 갈림길에서 작은간티고개, 대동아파트 방향으로 각각

     진행함.

   -대동아파트 이정표를 지나면 능선과 사면 갈림길이 나타나는데, 여기서 우측 사면길로 

     진행하면 송전탑 아래를 지남.<길 주의>

   -함안터널 상부를 지나면 대동아파트 방향 이정표를 따라 진행함.

   -공단내 부강정밀 앞으로 내려서면 우측 공단길을 따라 무기마을로 진행하게 됨.

   -중간탈출로 : 없음

   -구간내 식수 보충장소 : 없음

 

○고도표 

 

○GPS트랙  

작대산~천주산.gdb

 

○지형도

 

 

 

 

 

함안과 창원의 경계를 가르는 작대산과 천주산 줄기를 따라 오르는 산행이다. 여느 시골마을과 다를

바 없는 산행 출발지점인 무기마을은 마을입구 표지석 안내문에 따르면 가뭄이 들 때 마을의 무우

기수(無雩沂水)에 기우제를 지내는 곳이라 하여 판결사 주선원공(周善元公)이 무기(無沂)라고 마을

이름을 지었다고 한다.

 

마을 안쪽을 지나 작대산 산행안내도가 있는 들머리를 지나면 작대산 정상까지 계속해서 오름길이

이어진다. 서봉으로 오르는 길이 조금은 가뿐 숨을 내쉬게 하지만 이후부터는 완만한 오르내림이다.

작대산(爵大山)은 산행안내도와 정상석 모두에 청룡산이라는 이름과 함께 표기되어 있는데,

임금이나 큰 인물이 난다는 유래가 있는 산으로 일제시대 이전의 문헌에는 청룡산으로 표기되어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먼 옛날 노아(Noah)의 홍수(洪水)라 하여 천지개벽 당시 온 천지가 물에

잠겼어도 오직 이 산만은 작대기만큼 남았다고 하는 전설을 들어 일제가 민족말살 정책의 일환

으로 작대산으로 바꿔 불렀을 것이라는 설이 전해져 오는 산이다.

 

정상에 서면 넓은 헬기장과 좌우로 막힘없는 조망이 가슴을 뻥 뚫리게 하고 정상석 옆에는 잘 지어

진 정자가 잠시나마 편안한 휴식을 갖도록 해준다. 진행방향으로 보이는 천주산의 주봉인 용지봉은

금방이라도 닿을 것 같은데, 농바위라 불리는 상봉을 지나야 닿을 수 있는 거리다.

 

작대산 정상을 지나면 양미재까지 고도를 낮췄다가 내려선 높이보다 더 올라야만 상봉에 도착한다.

농바위로 불리는 상봉은 거대한 암봉으로 되어 있다. 정상석 옆으로는 깎아지른 절벽이 오금을

저리게 한다. 가까이에 창원1터널을 지나는 외곽고속도로가 내려다보이고 사방으로 막힘없는

조망이 좋아 정상의 너럭바위에 눌러앉아 점심식사를 하고 가기로 한다. 종주산행에서 느껴보지

못한 여유로운 식사와 휴식, 근교산행의 재미가 쏠쏠하다.

 

농바위를 내려서면 천주산 아래 넓은 안부를 만난다. 달천계곡으로 내려가는 갈림길인 안부를

지나 잠시 오르막을 오르면 천주산 주봉인 용지봉이다. 무학산과 이웃해 있는 천주산은 낙남정맥

이 지나는 곳으로 몇 해 전, 이곳을 지나던 기억이 생생하게 떠오른다.

전해오는 말로는 이 봉우리에 무덤을 쓰면 집안이 크게 번성한다고 한다. 그러나 마을에는 흉년이

들게 되므로 무덤을 쓰는 것을 금했다는 전설이 있다. 이 때문에 가뭄이 들면 주민들이 산으로 몰려가

암장지를 찾곤 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지는 곳이다.

 

마산, 진해, 창원이 통합되어 지금은 행정구역이 창원시로 바뀌었지만 예전 마산의 유명한 진달래

명산인 만큼 겨울인데도 진달래 군락지 곳곳에 진달래 꽃들이 계절을 잊은 채 피어있는 모습이다.

낙남정맥 종주산행의 추억을 떠올리며 무학산 방향으로 30분쯤 정맥길을 따라 걷다가 갈림길에서

우측 호연봉 능선길로 접어든다. 우측으로는 작대산 능선이 바라다 보이는 곳이다.

 

호연봉을 지나 산행 출발점인 무기마을로 이어지는 능선길은 곳곳에 갈림길이 나있지만 비교적

이정표가 잘 설치되어 있어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될 정도다.  능선 아래 함안2터널 상부를 지나면

갈림길에서 주의가 필요한데, 주능선을 버리고 우측 사면길로 진행하여 송전철탑 아래를 지나면

무기마을 앞 도로 맞은편으로 조그마한 공단길로 내려서게 되고 산행 출발지점인 무기마을 입구

로 되돌아 오게 된다. 

 

 

 

▼산행 출발지점인 함안군 칠원면 무기마을회관 앞입니다.  

 

 

▼무기마을회관 앞에서 바라 보이는 산줄기가 작대산 지능선입니다. 마을 길을 따라 들어가다가

   우측길로 접어들면 작대산 산행안내도가 있습니다.

 

 

▼마을회관에서 마을길로 300m쯤 들어가다가 우측 길로 진행하게 됩니다.

 

▼작대산 산행안내도 앞입니다.

 

 

 

▼작대산 산행안내도 앞에서 좌측 임도를 따라가면 작대산 서봉으로 오르는 지능선입니다.

 

 

▼갈림길마다 이정표가 설치되어 있는데, 서봉 방향을 따라 오릅니다.

 

 

 

▼이곳도 갈림길인데 좌측방향입니다.

 

 

▼작대산 1코스, 2코스와 만나는 갈림길입니다. 우리는 3코스에서 올라와 만나는 지점입니다.

 

▼'작대산 정상 0.4km' 이정표가 있고 무덤1기가 있는 이곳이 작대산 서봉입니다.

 

 

 

▼서봉에서 작대산 정상으로 가는 길입니다.

 

▼과거에 청룡산으로 불렀던 곳으로 창원 시가지가 내려다 보이는 작대산 정상입니다.

   창원과 함안의 경계이기도 합니다.

 

 

 

 

 

 

 

▼작대산 정상에서의 조망입니다.

 

 

 

▼작대산 정상에서 천주산 방향으로 500m쯤 지나면 무릉산 갈림길을 지납니다.

 

 

 

▼무릉산 갈림길을 지나 천주산으로 향하는 길입니다. 양미재까지는 내리막길이 계속됩니다.

 

▼양미재로 내려서면서 바라 본 조망입니다.

 

 

 

 

▼약간 오르막길인 너덜지대를 통과하여 다시 양미재까지 내리막길이 이어집니다.

 

 

 

 

▼양미재입니다.

 

 

▼양미재를 지나자마자 송전탑 밑을 통과합니다.

 

▼농바위(상봉)가 가까워지면 가파른 나무계단이 시작됩니다.

 

 

▼나무계단을 오르면 잠시 쉬어갈 수 있는 농바위 직전 쉼터입니다.

 

▼지나온 작대산 정상과 좌측 아래에 출발지점인 무기마을이 보입니다.

 

 

▼내려다 보이는 창원외곽 고속도로입니다.

 

▼농바위라고 불리는 상봉입니다.

 

 

▼농바위에서 내려다 본 창원시가지 조망입니다.

 

 

 

▼농바위에서 본 천주산 주봉인 용지봉입니다.

 

▼농바위를 내려가는 길에 갈림길이 나타나면 우측방향으로 진행합니다.

 

▼농바위를 내려가면 임도와 만나는 안부입니다. 좌측은 창원시이고 우측은 함안군으로 넓은

   안부엔 쉼터가 있는데, 여기서 천주산 정상까지는 15분정도 소요됩니다.

 

 

 

▼안부에서 천주산 정상으로 오르는 길입니다.

 

▼천주산 주봉인 용지봉입니다.

 

 

 

 

 

▼용지봉에서 지나온 길을 바라 본 조망입니다. 앞에 보이는 봉우리가 농바위이고 뒷쪽이 작대산

   입니다.

 

▼천주산 용지봉에서의 조망입니다.

 

 

▼용지봉 정상석 앞에서 진행방향 우측으로 낙남정맥길을 따라 진행합니다. 

 

▼천주산에서 호연봉 가는 길에는 여러 곳에 갈림길이 있는데, 이정표를 잘 보고 진행해야 됩니다.

   소계.구암갈림길에서 제2금강산능선 방향으로 진행합니다. 

 

 

▼제2금강산갈림길에서 장등산 방향으로 진행합니다.

 

 

▼금강계곡과 장등산 갈림길이 있는 이곳이 낙남정맥 갈림길입니다. 여기서 금강계곡 방향이

   낙남정맥길이고 호연봉을 지나 무기마을로 가는 길은 장등산 방향입니다.

 

▼갈림길에서 대동다숲아파트 방향으로 진행합니다.

 

▼호연봉입니다.

 

 

▼산정저수지 갈림길에서 대동다숲아파트 방향으로 진행합니다.

 

 

▼11월말인데 진달래가 활짝 피었습니다.

 

▼이정표없는 갈림길에서 능선길을 따라 우측방향으로 진행합니다.

 

▼예곡마을 갈림길 이정표가 있고 쉼터가 있는 이곳이 보등산입니다.

 

 

 

▼보등산에서 작은간티고개 방향으로 진행합니다.

 

▼보등산을 지나면서 만나는 이정표 갈림길에서 작은간티고개, 대동아파트 방향으로 각각 진행합니다.

 

 

▼대동아파트 이정표를 지나면 능선과 사면 갈림길이 나타나는데, 여기서 우측 사면길로

   진행하게 됩니다.<주의>

 

▼우측 사면길로 내려가면 곧바로 송전탑 아래를 통과하게 됩니다.

 

▼송전탑을 지나면 창원외곽고속도로 위를 지나게 되는데, 함안터널 상부와 만나기 전에 내려다 본

   고속도로 조망입니다.

 

▼함안터널 상부를 지나면 대동아파트 방향으로 진행합니다.

 

 

 

▼산행로가 끝나는 지점입니다. 공단내 부강정밀 앞으로 내려서면 우측 공단길을 따라 무기마을로

   진행하게 됩니다.

 

 

 

▼공단내 도로를 따라 출발지점이었던 무기마을로 가는 길입니다.

 

 

 

▼산행 출발지점이자 종료지점인 무기마을 입구입니다. 가뭄이 들 때 마을의 무우기수(無雩沂水)에

   기우제를 지내는 곳이라 하여 판결사 주선원공(周善元公)이 무기(無沂)라고 마을이름을 지었다고

   합니다.

작대산~천주산.gdb
0.05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