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남정맥 4구간] 한진교통~버들치고개~광교산~백운산~지지대고개~이동고개~이동고개삼거리
○산행일시 : 2011. 2. 26. 08:35~16:25 (소요시간: 7시간 50분, 식사 및 휴식시간 40분 포함)
○산행구간 : 한진교통(08:35)-(2.5km)-소현초교(09:25)-(0.6km)-소실봉(09:35)-(1.2km)
-43번국도(09:50)-(2.6km)-매봉샘(10:35)-(0.6km)-버들치고개(10:45)-(1.8km)
-문암재/천년약수(11:10)-(0.4km)-이의동갈림길(11:15)-(0.9km)
-형제봉(11:30~11:45)-(1.2km)-비로봉(12:10)-(0.2km)-토끼재(12:15)-(0.9km)
-광교산/시루봉(12:35)-(0.7km)-통신대(12:50~13:15)-(1.2km)-백운산(13:40)
-(3.6km)-수의사거리(14:45)-(0.2km)-범봉(14:50)-(1.3km)-지지대고개(15:05)
-(0.8km)-이동고개/고속도로(16:00)-(1.7km)-이동고개삼거리(16:25)
○산행거리 : 구간거리 24.4km/접속거리 0km/총거리 24.4km
○날씨 : 맑음○구간특징
-산행 들머리 : 한진교통 맞은편
-한진교통앞 도로를 건너 좌측으로 20m쯤 가면 고가도로 밑으로 오르는 길을 따라 고가도로를
아래쪽으로 통과해야 됨.
-야산지대를 지나면 도로공사 현장이 나오는데 도로를 건너 맞은편 마루금을 향해 진행함.
-한국수자원공사 수지정수장 감시초소에서 우측으로 철조망을 따라 진행함.
-철조망 너너로 소현초등학교가 보이면 철조망을 통과하여 우측으로 가면 운동장으로 내려가는
언덕이 있음.
-소현초등학교 정문을 나가 우측으로 진행하다가 소현중학교를 지나면 좌측 마루금으로 올라섬.
-소실봉을 내려오면 상현초등학교이며, 진행방향 좌측으로 도로를 따라 감.
-상현초교삼거리, 아이파크5단지 삼거리를 지나 수지방주교회 앞으로 진행함.
-수지방주교회를 지나자마자 좌측으로 도로를 건너 현대홈타운 아파트로 진행함.
-현대홈타운 후문을 통과하여 좌측으로 진행하여 공원방향으로 직진함.
-공원을 지나면서 부터는 형제봉 이정표를 따라 마루금을 이어감.
-매봉샘, 문암재(천년약수)를 지나면 형제봉임.
-비로봉 정상을 넘지않고 정상아래를 우회하는 길이 있는데, 정상을 넘어가는 길과 만남.
-광교산의 주봉은 시루봉임.
-통신대앞 삼거리에서 우측으로 돌아가면 백운산이며, 정상에서 계속 우측으로 통신대를
돌아오면 통신대앞 삼거리에서 좌측으로 가는 길과 만남.
-통신대헬기장과 광교헬기장을 지나면 범봉임.
-범봉을 내려가면 북수원TG 고속도로가 보이며, 도로밑 암거를 통과하면 지지대고개임.
-지지대고개에서 진행방향 우측으로 1번국도를 따라가다가 고가차도를 횡단하여 1번국도 맞은편
으로 되돌아오면 지지대비가 있음.
-지지대비에서 우측 마루금을 따라 진행함.
-이동고개는 의왕-군포간 고속도로상이며, 북수원방향 나가는곳을 지나면 고속도로 아래로 횡단
하는 길이 있음.(동물이동통로는 도로 확장으로 인해 철거된 상태임)
-이동고개를 지나 야산지대를 지나면 이동고개삼거리이며, 4구간 산행을 종료함.
-이동고개 삼거리 횡단보도를 건너 좌측 맞은편으로 5구간 마루금이 이어짐.
-중간탈출로 : 43번국도 전후 상현동일대, 지지대고개(1번국도)
-구간내 식수 보충장소 : 43번국도 전후 상현동일대(구입), 매봉샘, 천년약수
○고도표
○GPS트랙
○지형도
한진교통 맞은편 고갯마루에서 우측으로 이어진 고가차도 밑을 거슬러 올라가서 야산지대를
따라 진행한다. 야산지대가 끝날즈음 지도에 없는 도로공사 현장이 나타나면서 주변이 어수선
해진다. 백두대간길도 개발의 몸살에 병들어가는데, 정맥길이야 오죽이야 하겠냐마는 곳곳이
파헤쳐지고 마루금의 흔적마저 사라져가고 있는 실정이다.
수자원공사 감시탑에서 철조망을 따라 우측길로 진행하면 철조망 너머로 소현초등학교가
내려다 보인다. 학교 철조망 개구멍밑을 기어서 통과하면 옹벽이 쳐져있는 절개지다.
소실봉 끝자락이 절개지 맞은편으로 보인다. 학교 운동장을 지나 소실봉으로 오르는 길은
소현중교 정문을 지난다.
소실봉은 중국의 유명한 소림사 절이 위치한 숭산에 존재하는 산으로도 유명한데, 용인의
소실봉은 지역의 난개발로 인하여 주변 산들이 절반이상 잘려나간 상태로 이 곳만 달랑 남아
있는 형국이다. 소실봉을 내려서면 광교산 산행이정표가 시작되는 산길로 접어들기까지
시가지와 아파트 단지를 지나야 하기 때문에 마루금의 흔적은 찾아보기 힘들고 지도와 GPS
에 의존할 뿐이다.
시가지 끝자락에 위치한 공원을 지나면서 부터 지지대고개까지는 이정표가 잘되어 있어
편안한 마음으로 산행을 즐긴다. 매봉샘을 지나 버들치고개에는 광교산 산행안내도가 자세히
설치되어 있기도 하다. 옛날 이 고개 양쪽이 늪지대로 버들이 무성해 키나 고리를 만드는 사람
들이 이 곳에서 버들을 많이 채취했다고 해서 버들치고개라고 부르게 됐다는데, 이 고개는
수원시와 용인시의 경계선이 되고 있다.
천년약수가 있는 문암재를 지나 형제봉 정상이 가까워오면서 끝없는 계단길이 이어진다.
등산로 훼손을 막기위한 조치이지만 한동안 계단과의 힘든 싸움을 벌인 뒤에야 조망이
뛰어난 형제봉 정상을 오를 수 있다.
형제봉은 광교산에서 가장 멋있는 바위봉우리다. 양면이 벼랑이라 바위면에 밧줄을 설치해
놓았다. 형제봉이란 이름은 봉우리 동쪽에 좀 낮은 바위봉인 아우봉이 있기 때문이다.
형제봉 정상에서는 광교저수지와 수원시내 뿐 아니라 용인, 성남, 저 멀리 청계산 자락까지
한 눈에 볼 수 있어서 조망이 좋고 또한 이곳부터는 주봉인 시루봉이 잘 보이면서 군포의
수리산, 의왕의 모락산도 보인다.
형제봉에서 비로봉 쪽으로 내려가는 길은 매우 가파르고 철봉에 긴 밧줄이 매어져 있다.
이후 평지처럼 널찍한 잘록이를 지나 조금 오르면 왼편으로 김준용장군 전승비로 가는
갈림길이 갈라진다. 전승비까지는 2~3분이면 닿을 수 있다. 전승비는 오랑캐를 물리친
계곡이라는 '호항곡'의 삼면 가운데 천연 암벽에 비문이 새겨져 있으며 경관도 좋다.
전승비에서 다시 등성이 길로 나와 한바탕 오름길을 오르면 정자가 있는 비로봉이다.
'종루봉 전망대'라는 현판이 걸려 있으며 이름에 걸맞게 전망이 좋다. 토끼재는 전망대
에서 시루봉 쪽으로 조금 내려가면 만난다.
토끼재에서 노송이 멋있는 암릉을 오르면 능선
삼거리의 봉우리에 올라선다. 오른편(동편)으로 가면 주봉인 시루봉이다.
광교산 정상(시루봉)은 해발582m, 수원시와 용인시 경계를 이루는 산이다.
산경표에 의하면 한남정맥에서 높이가 가장 높은 산이다.
택리지에「광교산으로 부터 북쪽으로 관악산이 되고 똑바로 서쪽으로 수리산이 되어서
서해로 들어간다」고 하였다. 본래 광악산(光岳山)이였는데 928년 고려 태조 왕건이 후백제
의 견훤을 평정하고 광악산 행궁에 머물면서 군사들을 위로하고 있을 때 정상으로 광채가
솟아오르는 것을 보고 이 산은 부처가 가르침을 내리는 산이라 하여 산 이름을 광교라 사하
였다는 일설이 있다. 행정구역상으론 수원시이나 산자락은 의왕.용인까지 뻗어 있어 서로
'의왕 광교산' '용인 광교산'으로 부르고 있다.
광교산(光敎山)의 정상인 시루봉을 지나 백운산(562m)을 거쳐 내려가면 지지대고개다.
프랑스군 6ㆍ25참전 기념비가 있다. 비문에 나폴레옹 운운하는데 생경한 느낌이다.
도로를 횡단하기 위해 고가차도를 건너 지지대비가 있는 곳에서 마루금을 이어간다.
지지대(遲遲臺)는 조선 정조임금이 부친인 사도세자 능을 참배하고 한양으로 돌아가는
길에 이 고개를 넘어서면 멀리서나마 더이상 부친의 능을 볼 수 없게 되어 이곳에 멈춰서서
뒤돌아보면서 느릿느릿 행차했다고 해서 느릴 지(遲)자 두자를 붙여 지지대고개라고 불렀
다고 한다.
야산지대를 지나 가파른 절개지에서 내려다 보이는 고속도로가 이동고개다. 의왕-군포간
고속도로로 예전엔 동물이동 통로를 이용해서 고속도로를 횡단했지만 도로 확장공사로
인해 동물이동 통로가 부분 철거된 바람에 북수원방향 나가는 곳으로 진행하여 좌측 도로
밑을 지나 진행한다. 당초 계획은 이동고개에서 4구간을 종료할려고 했지만 고속도로상에서
차량 이동이 어려워 좀 더 진행하여 이동고개삼거리에서 4구간을 마친다.
▼한진교통 맞은편으로 진행합니다.
▼한진교통 맞은편에서 진행방향 우측으로 조금 지나 고가도로 아래쪽으로 올라섭니다.
▼고가도로를 통과하여 내려다 본 모습입니다.
▼야산지대로 이어진 길을 따라 갑니다.
▼한진교통앞을 출발한지 17분쯤 지나면 도로공사 현장이 나타납니다. 아직 지도에는 표시되지
않은 길인데 좌측 아래쪽 도로현장을 가로질러 올라가면 됩니다.
▼도로공사 현장을 지나 좌측 묘지 방향으로 진행하면 수자원공사 수지정수장 감시초소가 있습니다.
▼한국수자원공사 수지정수장 감시초소에서 철조망을 따라 우측으로 진행합니다.
▼좌측 철조망 너머로 소현초등학교가 보이면 학교 철조망을 넘어가야 되는데 개구멍 밖에는
없습니다.
▼철조망을 통과하면 절벽 아래로 소현초등학교가 보입니다.
▼철조망 개구멍을 통과하여 우측으로 언덕을 따라가면 코너부분에 축구장으로 내려가는 언덕길이
있습니다.
▼소현초등학교 운동장으로 내려오는 길입니다.
▼소현초등학교 운동장을 가로질러 정문으로 향합니다.
▼소현초등학교 정문을 나가 진행방향 우측으로 진행합니다.
▼소현초등학교 옆에 있는 소현중학교를 지나 10m쯤 지나 좌측 마루금을 이어가면 됩니다.
▼소현중학교 맞은편 마루금을 올라서면 소실봉입니다.
▼소실봉에서 내려다 본 소현초등학교와 좌측으로 소현중학교입니다.
▼소실봉을 내려오면 상현초등학교 앞인데 학교앞에서 좌측으로 도로를 따라 진행합니다.
▼상현초교삼거리를 지나 아이파크아파트 사이 도로를 따라 진행합니다.
▼아이파크 5단지 삼거리를 지나 수지방주교회 방향으로 진행합니다. 방주교회를 지나면 도로를
건너 진행방향 좌측으로 진행합니다.
▼서원마을 현대홈타운 단지 안으로 들어가서 후문을 나가 좌측으로 진행합니다.
▼현대홈타운 후문을 나와 좌측으로 진행합니다.
▼도로를 건너 직진하면 공원을 지나게 됩니다.
▼공원 계단을 따라 올라가서 좌측으로 진행합니다.
▼공원을 지나 좌측으로 진행하면 여기서 부터 다시 산길을 따라갑니다. 상현초등학교에서 이곳
까지 오는 동안은 아파트 단지와 시가지를 지나오기 때문에 길 찾는데 주의가 필요합니다.
▼공원을 지나면서 부터는 광교산 산행로가 이어지기 때문에 곳곳에 이정표가 잘되어 있어 편리
합니다. 형제봉 방향으로 계속 진행합니다.
▼군부대 철조망을 따라 진행합니다.
▼한남정맥 마루금에 위치한 매봉샘입니다.
▼매봉샘에서 10분쯤 가면 버들치고개이고 광교산 산행안내도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천년약수터 이정표입니다.
▼마루금을 따라 좌측은 수원시, 우측은 용인시 경계가 이어집니다.
▼형제봉으로 향합니다.
▼광교산 일대는 많은 산행로 갈림길이 나있는데, 이곳은 이의동갈림길입니다.
▼백년수 정상 이정표입니다.
▼형제봉이 가까워지면 나무 계단길이 끝없이 이어집니다.
▼형제봉 정상 직전의 갈림길입니다.
▼형제봉입니다.
▼형제봉은 암봉으로 이루어졌는데 짧은 밧줄 구간이 있지만 어렵지 않게 오를 수 있는 곳입니다.
▼형제봉에서 걸어온 마루금을 바라 봅니다.
▼형제봉 정상입니다.
▼형제봉 정상의 이정표입니다.
▼비로봉 가는 길 중간에도 계단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전라도 병마절도사에 재임하던중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군사를 이끌고 광교산에 이르러 청태종의
사위이자 적장수인 양고리 등의 목을 베어 대승을 거뒀다는 김준용 장군의 전적비가 비로봉 정상
가기 직전 마루금을 약간 비켜난 곳에 있습니다.
▼비로봉 정상을 거치지 않고 광교산 주봉인 시루봉으로 가는 갈림길입니다. 이곳에서 비로봉까지는
94m, 정상에 올랐다가 내려가면 이 우회길과 만나게 됩니다.
▼비로봉 정상에는 정자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비로봉 정상 이정표입니다.
▼비로봉과 시루봉 중간지점인 토끼재입니다.
▼광교산 주봉인 시루봉 정상입니다.
▼시루봉을 내려와 백운산으로 가는 길목에 노루목대피소를 지납니다.
▼통신대 송신탑입니다.
▼이곳 통신대 송신탑앞 삼거리에서 우측으로 돌아가면 의왕시 백운산 정상이고, 좌측으로 가면
백운산 정상을 거치지 않고 곧바로 가는 길입니다. 백운산 정상을 갔다가 통신대를 한바퀴 돌면
좌측으로 가는 길과 만나게 됩니다.
▼백운산 정상입니다.
▼백운산 정상에서 통신대 우측길로 돌아갑니다. 광교산에서 왔던 길은 좌측길입니다.
▼통신대 앞에서 계단길을 따라 내려갑니다.
▼통신대를 내려가는 길에 뒤돌아본 통신대 송신탑입니다.
▼통신대 헬기장으로 가는 길입니다.
▼통신대 헬기장입니다. 규모가 커서 단체 산악회 시산제 장소나 휴식장소로 이용되고 있습니다.
▼통신대 헬기장 이정표를 확인하고 광교헬기장 방향으로 진행합니다.
▼광교헬기장입니다.
▼수의사거리입니다.
▼수의사거리에서 5분거리인 범봉입니다. 능선상에 있는 봉우리인데 별로 고도차가 없어 표지목이
없었다면 그냥 지나칠 수 있는 곳입니다.
▼범봉을 내려오면 아래로 고속도로가 내려다 보입니다.
▼북수원TG가 있는 고속도로를 지나면 지지대고개입니다.
▼고속도로밑 암거를 통과합니다.
▼고속도로를 지나오면 1번국도와 만나는 지지대고개입니다.
▼지지대고개에 있는 프랑스군 참전비입니다.
▼지지대고개에서 프랑스군 참전비를 우측에 두고 1번국도를 따라가면 1번국도를 횡단하는
고가차도가 보이는데, 고가차도로 올라가서 1번국도를 횡단하여 되돌아와야 됩니다.
▼도로표지판 뒷쪽으로 보이는 곳이 1번국도를 횡단하는 고가차도입니다.
▼고가차도를 우측에서 좌측으로 통과하여 다시 1번국도를 따라 되돌아오면 지지대비가 있습니다.
▼조선 정조임금이 부친인 사도세자 능을 참배하고 한양으로 돌아가는 길에 이 고개를 넘어서면
멀리서나마 더이상 부친의 능을 볼 수 없게되어 이곳에 멈춰서서 뒤돌아보면서 느릿느릿 행차
했다고 해서 느릴 지(遲)자 두자를 붙여 지지대고개라고 불렀다고 하며, 정조임금의 지극한
효성을 추모하기 위해 순조7년(1807) 화성 어사 신현의 건의로 세워진 비라고 합니다.
▼마루금은 계속해서 수원시와 의왕시 경계를 지납니다.
▼지지대고개를 지나 이동고개로 가는 길입니다.
▼이동고개는 의왕-군포간 고속도로상에 있습니다. 지금은 고속도로 확장공사로 인해 예전에
설치되어 있던 동물이동통로를 따라 횡단할 수가 없어 고속도로변으로 내려선 후 조금 진행
하다가 북수원 방향 나가는 곳에서 도로아래를 횡단하여 건너야 됩니다.
▼북수원 방향 나가는 곳을 지나면 좌측으로 고속도로 밑으로 통과하는 곳이 있습니다.
▼고속도로를 횡단한 후 동물이동통로 맞은편 마루금으로 진행합니다. 동물이동통로는 도로 확장으로
인해 한쪽 차로부분이 철거된 상태입니다.
▼이동고개를 지나 이동고개삼거리로 가는 야산지대입니다.
▼이동고개삼거리에서 4구간을 종료합니다.
'◆대간 & 정맥┣━━━ > 한남정맥(終)'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남정맥 6구간] 방죽재~양지산~여우고개~거마산~철마산~만월산~백운공원 (0) | 2011.03.28 |
---|---|
[한남정맥 5구간] 이동고개삼거리~슬기봉~수암봉~목감고개~운흥산~방죽재 (0) | 2011.03.14 |
[한남정맥 3구간] 하고개~부아산~멱조고개~석성산~아자치고개~한진교통 (0) | 2011.02.16 |
[한남정맥 2구간] 두창고개~문수봉~염치고개~함박산~하고개 (0) | 2011.02.08 |
[한남정맥 1구간] 칠장사~칠장산~도덕산~국사봉~구봉산~두창리고개 (0) | 2011.0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