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남정맥 3구간] 하고개~부아산~멱조고개~석성산~할미산성~아자치고개~양고개~한진교통
○산행일시 : 2011. 2. 12. 08:35~16:55
(소요시간: 8시간 20분, 식사 및 휴식시간 65분 포함)○산행구간 : 하고개(08:35)-(1.4km)-부아산(09:00)-(3.8km)-42번국도(10:05)-(1.4km)
-멱조(메주)고개(10:30)-(3.5km)-석성산(11:45)-(1.6km)
-영동고속도로 마성IC(12:20~12:45)-(1.2km)-향린동산 이정표(13:15~13:55)
-(2.1km)-향린동산 서문(14:20)-(1.3km)-구성교차로(14:40)-(2.6km)
-아자치고개(15:20)-(3.9km)-신릉중학교앞(16:20)-(0.6km)-양고개(면허시험장앞)
(16:30)-(1.2km)-경부고속도로 암거(16:45)-(0.4km)-한진교통(16:55)
○산행거리 : 구간거리 25.0km/접속거리 0km/총거리 25.0km
○날씨 : 맑음○구간특징
-산행 들머리 : 하고개 터널입구
-부아산 정상에서 지곡리방향 이정표를 따라 가파른 내리막길을 내려감.
-부아산을 지나면서 부터 마루금을 따라 송전철탑이 계속 이어짐.
-42번국도는 6차선 도로이며 횡단보도가 없어 무단횡단시 주의가 필요하며, 횡단후 성산주유소
좌측 절개지 그물망을 타고 올라야 됨.
-'화운사입구삼거리'라고 표시된 삼거리 교차로가 메주고개라고도 불리는 멱조고개이며,
용인경전철 철로를 건너기 위해서는 멱조고개에서 진행방향 우측으로 도로를 320m정도 따라
내려가다가 철로 아래를 통과하여 다시 좌측으로 올라선 후 마루금을 이어가야 됨.
-석성산 정상옆 마루금에 통신부대가 주둔해 있기 때문에 우측 산허리를 돌아 석성산 정상으로
올라야 됨.
-석성산 정상을 내려가면 영동고속도로 마성IC이며, 마성TG 좌측으로 마루금을 이어감.
-할미산성 안내판을 지나면 향린동산 방향 표지판을 만나게 되며, 이곳에서 좌측 향린동산 방향을
버리고 시그널이 달려있는 직진방향으로 진행함.
-향린동산 방향 이정표에서 약 15분(930m) 지나면 향린동산 철조망을 따라 올라가는 직진방향과
우측으로 산허리를 돌아가는 뚜렷한 길이 있는 작은 갈림길이 있는데, 이곳에서 철조망을 따라
올라가야 됨.(이곳에서 특히 길주의)
-향린동산 상부 마루금에서 좌측으로 향린동산을 끼고 도로로 내려선 후 삼거리 갈림길마다
계속해서 우측길 직진방향으로 도로를 따라 내려오면 구성교차로임.
-구성교차로를 지나는 고가도로 입구에서 고가도로 우측 아래쪽으로 내려선 후 좌측길을 따라
계속 진행(약 620m)하다가 횡단보도를 건넘.
(또는 오른쪽편의 육교를 건넌 후 LPG 주유소 방향으로 내려오면 됨)
-횡단보도 건넌 후 우측방향으로 진행하면 다시 구성교차로 방향으로 가게되며, LPG 주유소
뒷쪽과 해미원 식당 사잇길로 조금 접어들다가 좌측 언덕배기로 올라섬.
-야산지대를 지나면 어정가구단지로 내려가는 마을 사잇길을 통과함.
-어정가구단지 '가구랜드' 상가건물 좌측 뒷쪽으로 돌아 도로를 따라 올라가면 상하동주유소를
지나 아자치고개에 이름.
-아자치고개에서 '정통밥집' 간판쪽으로 좌측 언덕배기로 올라서서 야산지대를 지나감.
-새천년아파트 방향 이정표를 따라 진행하며, 아파트 뒷쪽 만수정 정자가 있는 약수터에서
'숲속의빈터' 방향으로 진행함.
-새천년아파트 5단지 정문으로 빠져나와 좌측 도로를 따라 계속 직진함.
(맞은편에 신릉초,중학교 있음)
-기흥구청/성남,수지방향 도로 표지판이 있는 용인면허시험장앞 삼거리가 양고개임.
-양고개에서 성남,수지방향으로 우측으로 진행하여 지하통로를 지나자마자 '오대오 바지락
칼국수' 앞으로 도로를 횡단함.
-'오대오 바지락 칼국수' 좌측으로 수원국도관리사무소지회 진입로를 따라 들어가다가 정문
앞에서 우측 언덕배기로 올라섬.
-좌측으로 경부고속도로를 끼고 언덕을 내려서서 고속도로를 좌측에 두고 북쪽으로 280m
진행하면 고속도로를 통과하는 암거가 있음.
-경부고속도로 암거를 통과하여 도로를 따라 좌측으로 진행하면 한진교통 건물앞임.
-중간탈출로 : 42번국도, 영동고속도 마성TG, 향린동산 서문에서 아자치고개 일대,
새천년아파트 단지
-구간내 식수 보충장소 : 어정가구단지 부근(구입), 새천년아파트 뒷쪽 만수정 약수터 및
도로변 가게(구입)
○고도표
○GPS트랙
○지형도
하고개 터널입구에서 우측 계단을 따라 하고개로 올라선 후 부아산을 향해 한남정맥 3구간을 이어
간다. 마루금을 따라 20여분 진행하면 부아산(負兒山)이다.
부아산에 관한 기록으로『택리지』에 '죽산의 칠장산(七長山)이 크게 끊어져 평지가 되었다가 다시
일어나 부아산(負兒山)을 일으킨다' 라고 기록되어 있는데, 무네미고개(水踰峴)에서 끊어져 평지가
되었다가 함박산과 하고개(鶴峴, 학고개)를 거쳐 부아산에서 높이 솟았다는 의미라고 해석된다.
1995년에 출간된『용인 중부지역의 구비전승』에는 다음과 같은 부아산의 유래와 관련된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다.
홀로 된 시아버지를 모시고 외아들을 키우며 사는 한 부부가 있었다. 이들 부부는 가난하지만 남들
이 부러워할 만큼 부친을 잘 봉양하였다. 할아버지 역시 손주를 끔찍이 아껴 항상 집안에 화기가
돌았다. 어느 해, 남편이 관가에서 시키는 부역 때문에 여러 날 집을 비우게 되었다. 남편이 없는
동안에도 며느리는 시아버지를 극진히 모셨고, 시아버지는 아들 대신 나무를 해서 시장에 내다
팔았다. 며느리는 시아버지가 돌아올 때쯤이면 항상 아이를 업고 고갯마루에서 시아버지를 기다렸
다. 그런데 웬일인지 밤이 깊어가고 있는데도 시아버지가 돌아오지 않았다. 아이를 업은 며느리는
조금 더 조금 더 하는 마음으로 앞으로 가다가 자신도 모르는 길을 헤매게 되었다. 얼마나 헤맸을까,
가까운 곳에서 사람의 비명 소리가 들려왔다. 며느리는 혹시나 시아버지가 짐승에게 해를 입고 있는
것이 아닌가 하여 그곳으로 달려갔다. 과연 그곳에서는 시아버지와 호랑이가 죽음을 무릅쓰고 다투
고 있었다. 이 광경을 본 며느리는 호랑이를 크게 꾸짖으며, "네가 정말 배가 고파서 그런다면 내 등
에 업힌 아이라도 줄 테니 우리 시아버님은 상하게 하지 말라."고 하였다. 그러고는 어린아이를
호랑이 앞에 주자, 호랑이는 아이를 물고 어디론가 사라져버렸다. 겨우 정신을 차린 시아버지는
손자를 잃은 슬픔에 오열을 금하지 못했으나 며느리의 간곡한 애원으로 결국 집으로 돌아오고
말았다. 시아버지가 낙담하며, "나는 이미 늙었으니 죽어도 한이 없을 텐데, 어째서 어린아이를 죽게
했느냐?" 하였더니 며느리는, "어린아이는 다시 낳을 수 있지만 부모는 어찌 다시 모실 수 있겠습니
까?" 하며 마음 상하지 않기를 재삼 부탁하였다. 시아버지도 며느리가 더욱 마음 아파할까 봐 겉으로
는 슬픈 척도 하지 않았다. 그 후 사람들은 부인이 아이를 업고 헤맨 산’이라고 하여 '부아산(負兒山)'
이라고 부르고, 어린아이의 할아버지를 찾던 고개’라고 하여 '멱조현(覓祖峴, 멱조고개)'이라고 이름
붙였다.
멱조고개는 부아산 정상을 내려와 한참을 지난 후에야 만날 수 있는데 메주고개(화운사입구 삼거리)
로도 전해지고 있다. 지금은 고갯마루를 따라 용인경전철이 설치되어 있는 메주고개는 영남대로
(嶺南大路)가 지나는 길목으로 천년 고갯길이다. 영남대로는 한양에서 동래(부산)를 연결하는 최단
거리로 메주고개는 고려시대 부터 역로(驛路)로 이용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메주고개를 뒤로하고 고도를 높이면서 부아산, 광교산과 더불어 용인 지역의 3대 명산으로 불리는
석성산(石城山)을 향해 오른다. 석성산은 고구려 장수왕이 개로왕을 죽이고 쫓기는 백제군을 몰아
남하하면서 이곳을 장악했을 당시인 475년에 축성한 것으로 추측된다고 하는데, 정상에 서면 용인
시가지는 물론 사방으로 막힘없는 조망을 보여준다.
빙판길로 변한 가파른 북사면을 내려오면 영동고속도로가 가로질러 뻗어있고 한국전쟁 당시 파병
했던 터키군 참전비가 세워져 있는 마성IC를 만난다. 그리고 또다시 작은 봉우리를 올라서면 할미성
이다. 석성산 정상에서도 가깝게 내려다 보이는 할미성은 신라시대에 쌓은 성터로 추정되는데,
마고할미가 쌓았다고 해 마고성(麻姑城) 또는 할미산성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교회 교인 30명을 포함한 100여명이 각자 30만원씩을 내어 지금의 향린동산 자리 23만평의 산과
전답을 매수하여 전원주택단지로 조성했다고 한다.
향린동산 울타리를 따라 가다 정면으로 갈라지는 능선이 있는데, 이곳이 향린동산 뒷산에서 북쪽
으로 분기하여 법화산, 검단산을 지나 팔당댐으로 가는 44.1km 의 검단지맥의 시작점이 된다.
좌측으로 향린동산을 두고 빙 둘러 내려와 아스팔트 도로를 따라 한참을 내려오면 구성교차로에
닿는다. 이곳부터 구성교차로를 통과하고 오솔길로 접어들어 어정가구단지를 지나 아자치 고개
에 이르기 까지는 개발에 밀려 흔적을 잃어버린 마루금을 찾는데 많은 주의가 필요한 구간이다.
잠시 산길을 지나는가 싶더니 또다시 아파트 단지와 차량들의 질주속에 긴장의 끈을 놓을 수가
없는 지경이다. 지도와 GPS에 의존해 어렵게 신갈분기점 부근을 통과하니 경부고속도로를 질주
하는 차량들로 산길에서의 조용함과 한적함, 편안함은 순식간에 사라져 버린다. 고속도로밑 암거
를 통과하여 조금은 한적한 도로인 한진교통 건물앞 공터 주차장에서 3구간 산행을 마친다.
▼하고개 아래 터널 입구에서 산행을 시작합니다.
▼하고개 터널 위에서 부아산으로 향하는 길입니다.
▼부아산 정상입니다.
▼부아산 정상에서 지곡리 방향으로 내려갑니다.
▼부아산 정상을 내려가는 길은 가파른 내리막이므로 미끄럼 주의가 필요합니다.
▼부아산을 지나면서 부터 한남정맥 마루금을 따라 설치된 송전철탑이 가야할 방향을 인도해
주지만 마루금을 바라보는 조망은 썩 좋질 못합니다.
▼일반도로를 지나 철계단을 오릅니다.
▼계속 이어지는 송전철탑입니다.
▼아래 보이는 주유소는 42번 국도변에 있는 현대오일뱅크 성산주유소입니다. 6차선 국도를 횡단한
후 주유소 좌측 그물망이 설치된 비탈길을 따라 올라야 됩니다.
▼성산주유소앞 42번 국도입니다. 횡단보도가 없어 6차선 도로를 무단 횡단해야 됩니다.
▼42번 국도를 건너 주유소 좌측 비탈길을 따라 오릅니다. 다행히 그물망이 설치되어 있어 그물망을
잡고 오르면 미끄러지지 않고 오를 수 있습니다.
▼멱조고개로 내려서는 길에 거대한 화운사 돌비석이 세워져 있습니다.
▼화운사입구삼거리라고 표시된 이곳이 메주고개라고도 불리는 멱조고개입니다. 도로를 건너
맞은편 철계단을 따라 오르는 길이 정상적인 마루금이지만 도로와 계단사이에 용인경전철
철로가 설치되어 있고 철조망이 쳐져 있어 멱조고개에서 우측으로 내려가서 철로 아래를
통과하여 다시 좌측으로 올라선 후 마루금을 이어가야 합니다.
▼멱조고개에서 진행방향 우측으로 도로를 따라 내려가다 경전철 고가철로 아래를 통과하여 좌측
으로 올라서야 합니다.
▼용인경전철 아래를 지나 좌측으로 올라서야 됩니다.
▼좌측으로는 경전철 철로가 있고 오르막을 오르면 다시 마루금으로 연결됩니다.
▼324봉을 지납니다.
▼진행방향 좌측 콘크리트 내리막길은 동백지구, 우측으로는 석성산정상 이정표가 가리키고 있는
곳에서 석성산 방향으로 진행합니다.
▼석성산 정상으로 오르는 길입니다. 좌측 마루금 상부엔 통신부대가 주둔해 있어 마루금 아래로
우회하여 오르는 길입니다.
▼석성산 정상입니다.
▼석성산 정상에서 내려다 본 용인시내입니다.
▼석성산 정상에서 가야할 마루금을 바라봅니다. 산아래 영동고속도로를 지나 할미성을 오른 후
향린동산을 끼고 좌측으로 한남정맥 마루금이 이어지는 조망입니다.
▼석성산을 내려오면 영동고속도로 마성IC와 만나고 도로 표지판 뒷쪽으로 터키군 참전비도 세워져
있습니다.
▼영동고속도로 마성TG 좌측으로 마루금이 이어집니다.
▼마성IC를 뒤로 하고 오르면 할미산성입니다. 옛날의 석축 흔적이 아직도 뚜렷이 남아있습니다.
▼할미산성을 지나면 향린동산 이정표 삼거리를 만나는데, 향린동산 방향으로 가면 안됩니다.
정상방향은 지나온 길이며, 앞쪽으로 시그널이 달려있는 길이 마루금입니다.
▼이곳이 특히 주의할 지점인데 좌측으로는 향린동산을 끼고 돌면서 철조망이 쳐져 있고 철조망을
따라 진행해야 되는데 우측 산허리를 돌아가는 길이 더욱 뚜렷하여 잘못 길을 벗어날 수 있는
지점입니다.
▼향린동산을 끼고 좌측으로 돌아 내려가면 방치되어 있는 접시안테나가 있고 우측 콘크리트 도로를
따라갑니다.
▼차량진입금지 표시가 되어 있는 우측길을 따라 갑니다.
▼향린동산 윗쪽 마루금에서 내려와 바리케이트를 넘어온 후 도로를 따라 내려갑니다.
▼좌측으로 향린동산을 끼고 계속해서 도로를 따라 내려갑니다. 이 도로는 우측의 88컨트리클럽과
연결되는 도로이기도 합니다.
▼향린동산을 벗어나 만나는 삼거리 길에서 우측도로를 따릅니다. 우측도로를 내려가면 구성교차로
고가도로와 만납니다.
▼구성교차로 고가도로입니다. 이곳에서 주의가 필요한데 고가도로 입구에서 우측으로 고가도로를
내려간후 좌측으로 도로를 따라가다가 횡단보도를 건너야 됩니다.
▼구성교차로 고가도로 입구 가로등 분전반에 '한남정맥 ←左'라는 표지가 붙어있는데 이곳에서
고가도로를 내려간 후 좌측으로 진행합니다.
▼뒷쪽으로 구성교차로를 두고 도로를 따라 내려가다가 횡단보도에서 도로를 건너야 됩니다.
▼횡단보도를 건넌 후 다시 우측으로 LPG 주유소앞까지 진행해야 됩니다.
▼LPG 주유소 뒷쪽으로진행합니다. 우측으로 보이는 고가도로가 조금전 지나온 구성교차로입니다.
▼좌측의 해미원 식당과 우측 LPG 주유소 사잇길로 진행합니다.
▼LPG주유소 뒷쪽을 지나면 좌측 언덕배기로 올라서야 됩니다.
▼우측으로는 아파트 단지를 끼고 야트막한 산길을 지납니다.
▼마을 길을 통과하여 어정가구단지 방향으로 내려가야 됩니다.
▼어정가구단지에 있는 가구랜드 건물을 좌측으로 돌아 도로를 따라 우측으로 가야 됩니다.
▼우측으로 가구랜드를 끼고 도로를 따라 고갯마루에 올라서면 아자치고개입니다.
▼SK 상하동주유소앞을 지나면 아자치고개입니다.
▼아자치고개에서 정통밥집 간판을 따라 올라 마루금을 이어갑니다.
▼아자치고개에서 다시 야산을 따라 이어가면 이정표가 보이는데 이곳에서 새천년아파트 방향으로
진행해야 됩니다.
▼바로 위 사진 이정표 앞에서 맞은편으로 바라 본 마루금입니다. 우측에서 좌측 높은 봉우리인
석성산을 지나 좌측으로 빙 돌아 이곳에 섰습니다.
▼좌측으로는 수원컨트리클럽과 우측으로 아파트 단지를 끼고 사잇길을 따라가면 아파트단지
뒷쪽에 약수터를 지납니다. 약수터앞 정자이름은 만수정입니다.
▼약수터에서 '숲속의빈터' 방향으로 좌측으로 진행합니다.
▼이곳에서도 길 주의가 필요한 곳인데 아래 조형물이 설치되어 있는 새천년 아파트5단지 정문으로
내려가야 됩니다.
▼새천년아파트 5단지 정문을 내려오면 단지내 도로 좌측 길로 계속 직진하여 진행합니다.
▼도로 맞은편으로는 신릉중학교와 신릉초등학교를 지나게 됩니다.
▼계속해서 좌우로 아파트 단지를 끼고 도로를 따라 직진합니다.
▼기흥구청과 성남,수지 방향 도로표지판이 보이면 운전면허시험장앞 삼거리에서 우측으로
진행합니다.
▼용인 운전면허시험장앞 삼거리인 양고개입니다. 이곳에서 진행방향 우측입니다.
▼도로 지하통로를 따라 진행합니다. 이곳이 경부고속도로와 영동고속도로가 나뉘어지는
신갈분기점 부근입니다.
▼지하통로를 통과하자마자 도로를 건너 바지락칼국수 좌측길로 진행합니다.
▼바지락칼국수 좌측 길입니다. 앞에 보이는 곳이 수원국도관리사무소지회인데 정문앞에서 우측
산길로 진행합니다.
▼좌측으로 수원국도관리사무소지회 철조망을 따라 진행합니다.
▼야트막한 언덕배기를 넘어오면 좌측으로 경부고속도로를 만나는데 북쪽으로 조금 가면 고속도로
아래 암거를 통과하게 됩니다.
▼경부고속도로 암거를 통과합니다.
▼고속도로 암거를 지나 길을 따라 오면 한진교통 건물이 보이고 이곳에서 한남정맥 3구간 산행을
종료합니다.
'◆대간 & 정맥┣━━━ > 한남정맥(終)'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남정맥 6구간] 방죽재~양지산~여우고개~거마산~철마산~만월산~백운공원 (0) | 2011.03.28 |
---|---|
[한남정맥 5구간] 이동고개삼거리~슬기봉~수암봉~목감고개~운흥산~방죽재 (0) | 2011.03.14 |
[한남정맥 4구간] 한진교통~광교산~백운산~지지대고개~이동고개삼거리 (0) | 2011.03.05 |
[한남정맥 2구간] 두창고개~문수봉~염치고개~함박산~하고개 (0) | 2011.02.08 |
[한남정맥 1구간] 칠장사~칠장산~도덕산~국사봉~구봉산~두창리고개 (0) | 2011.0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