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재지 : 경북 문경시 산북면 전두리 8번지
경북 문경시 산북면 사불산(四佛山) 아래에 위치한 대승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 직지사
의 말사로서, 아름다운 창건설화와 함께 비교적 풍부한 사적을 보유하고 있다.
본래의 산명은 공덕산(功德山) 이었으나 삼국유사에 따르면 "죽령(竹嶺) 동쪽 백여 리 지점에 높이
솟은 산봉우리가 있는데, 진평왕 9년 (587년)에 홀연히 사면 10자 정도되는 큰 돌이 사방에 불상을
새겨 붉은 비단에 싸여 하늘로 부터 산 꼭대기에 내려왔다. 왕이 이 사실을 듣고 수레를 타고 가서
예경하고 그 바위 곁에 절을 지어 대승사라 하였으며, <법화경(法華經)>을 독송하는 망명(亡命,
이름을 밝히지 않은) 비구를 청하여 절을 주관케 하였더니, 그 주변을 깨끗이 청소하고 돌에 공양
하여 향화(香火)가 끊이지 않았다. 산을 덕산(德山), 또는 사불산(四佛山)이라 하였다.
비구가 죽자 장사지냈더니 무덤위에서 연꽃이 나왔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이 절은 '천강사불(天降四佛) 하고 지용쌍련(地湧雙蓮)' 의 설화로서 더욱 잘 알려져 있다
사불산 산마루에 있는 사면석불상(四面石佛像)에 관한 설화에 따르면 고려 고종 때 최자(崔滋)가
절 서남쪽에 있는 백련사(白蓮寺)를 새롭게 단장했으며, 조선초에는 기화(己和)가 반야사(般若社)
를 결성하여 후학들을 지도하기도 했다. 임진왜란으로 불탄 것을 1604년(선조 37)부터 1701년
(숙종 27)에 걸쳐 여러 사찰 당우를 신축했는데, 1692년 금당을 지은 뒤 미면사(米麵寺:白蓮寺)
삼존불을 옮겨 봉안했다. 1725년 의학(義學)이 삼존불상을 개금할 때 아미타불 몸속에서 사리(舍利)
1과와 705년(神龍 원년)에 금으로 쓴〈화엄경〉7권이 나왔다. 1862년(철종 13) 건물 대부분이 소실
된 후 몇 차례의 중수공사가 있었고, 1956년 다시 화재가 났으나 1966년 중건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대웅전을 중심으로 좌우에 극락전·나한전·시왕전·선원·요사채 등이 있으며, 부속암자로는 묘적암,
윤필암, 상적암 등이 있다.
▼주차장에서 대승사로 들어가는 입구입니다.
▼대승사 경내 입구입니다.
▼대승사 대웅전입니다.
▼대웅전옆에 있는 연돌입니다.
▼청련당(靑連堂)입니다.
▼대승사 대승선원입니다. 1960년대 퇴경 권상로 선생이 지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H자형의 독특한 모습으로 정면 8칸의 팔작지붕에 건평이 106평이며, 40명 정도 수용이 가능합니다.
▼대승선원에서 본 대승사 경내입니다.
▼앞쪽은 극락전, 뒷쪽은 응진전입니다.
▼사불산 반야봉에서 내려다 본 대승사 전경입니다.
▼사불산 반야봉에서 본 대승사의 모습을 가까이 잡아보았습니다.
'◆삶의 향기┣━━━━ > 山寺의 향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해 용문사 (0) | 2010.12.09 |
---|---|
문경 윤필암 (0) | 2010.06.18 |
하동 청학사 (0) | 2010.06.18 |
김천 수도암(修道庵) (0) | 2010.04.13 |
사천 백천사(百泉寺) (0) | 2010.03.31 |